'행정자원 화재' 복구율 17%…추석 연휴에도 불 끄는 정부

정부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추석 연휴에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 복구에 총력을 기울인다. 주요 전산 시스템이 마비되면서 국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가동해 공백 없는 복구 작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일 낮 12시 기준 전체 647개 시스템 가운데 112개가 복구돼 복구율이 17.3%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 중에는 1등급 핵심업무 시스템 21개도 포함됐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5층 7·8전산실에만 전체의 절반이 넘는 330개 시스템(51%)이 몰려 있어 복구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김민재 중대본 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추석 연휴에도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며, 재난안전통신망과 재난문자를 통해 신속히 상황을 전파하겠다”며 “중대본 회의를 격일로 열고, 본부장이 직접 현장을 점검해 복구를 독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화재로 전소된 5층 전원장치 수리를 민간 전문업체 지원으로 열흘 안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또 삼성SDS·LG CNS 등 민간 전문가를 현장에 투입하고, 행안부 본부 인력과 승진자 교육인력 등 20여명을 현장에 배치해 복구를 지원하고 있다.

전소된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 복구가 추진된다. 이미 NHN클라우드와 공간 임대 계약을 완료했으며, 오는 14일까지 서버·네트워크 장비 설치를 끝내고 28일부터 시범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데이터 소실 우려도 현실화됐다. 공무원 공동 자료 저장소인 ‘G드라이브’가 불에 타면서 74개 기관, 19만여명이 개별 저장한 업무자료가 전부 사라졌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백업 체계를 갖추지 못한 것은 뼈아픈 문제”라며 “새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반드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국민 불편도 이어지고 있다. 대국민 민원창구인 국민신문고가 중단되면서 지자체 민원상담 창구가 사실상 멈췄다. 정부는 3일부터 지방행정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민원상담을 재개하고, 온나라시스템은 오는 6일 긴급 복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 차장은 “추석 연휴에도 복구 공백이 없도록 예비비를 신속히 투입하고, 추가 장비 구매와 인력 보강을 선집행·후정산 방식으로 진행하겠다”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복구 속도를 최대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