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업계에 따르면, 네덜란드 정부의 넥스페리아 경영권 장악에 중국이 수출 금지 조치를 3주째 이어가고 있다. 앞서 네덜란드 정부는 경제안보를 이유로 중국 윙테크가 2019년 인수한 넥스페리아의 경영권을 지난달 접수했다. 이에 반발한 중국은 이달 4일부터 넥스페리아의 차량용 반도체 수출 전면 중단을 결정했다.
넥스페리아는 자동차의 와이퍼나 창문 작동 등 전류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디스크리트(Discrete)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디스크리트 반도체 시장 점유율 9.5%로 세계 2위, 특히 트랜지스터-다이오드 분야에선 40%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자동차부품제조협회(MEMA)는 해당 칩이 조금만 없어도 조립 라인 전체가 멈출 수 있다고 전했다. 당장 폭스바겐은 이달 말 골프 생산라인을 중단한다고 발표했고, 스텔란티스·르노의 연내 생산 차질을 전망하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넥스페리아가 생산하는 디스크리트 반도체는 큰 기술력이 필요하지 않은 저가용 반도체로 분류되지만, 완성차 한 대당 약 500여개의 칩이 들어갈 정도로 수요가 상당하다. 이에 유럽 완성차 업체들은 대체 부품 조달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공급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설계 승인과 품질 인증 절차에 최소 6개월 이상이 걸려 수출 중단 장기화 시 파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달 30일 부산에서 열리는 트럼프-시진핑 회담에 관심이 쏠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 회담에서 희토류와 반도체 장비, 해운 수수료 등 주요 경제 현안에 대한 대략적인 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회담에서 양국이 반도체 수출 규제나 관세 조정에 합의할 경우, 유럽은 물론 글로벌 자동차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