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최고경영자(CEO)를 만난 자리에서 "한국을 아·태 지역 AI(인공지능)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동참하기를 기대한다"며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한다면 한국은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31일 오후 2시 황 CEO와 대한민국 AI 인프라를 비롯한 AI 생태계 전반의 혁신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함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접견에서는 △피지컬 AI 등 핵심 분야 AI 인프라 구축과 기술 협력 △AI 기술 공동 연구 △AI 인재 양성·스타트업 지원과 관련해 엔비디아와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피지컬 AI는 AI 제조, 로봇, 자율주행차 등 실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현실 세계에서 인식·행동하는 AI를 의미한다.
현대차·네이버, 피지컬 AI 등 핵심 분야서 엔비디아와 협력
항목별 논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AI 인프라 구축과 기술 협력을 위해 엔비디아의 최신 GPU 총 26만장 이상을 포함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공공과 민간의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한다. 이 과정에서 단순한 하드웨어 설치를 넘어 구축·운용 기술 협업도 병행한다.민간에서는 현대차, 네이버가 피지컬 AI 등 핵심 AI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대차, 엔비디아는 이번 접견에 앞서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현대차와 엔비디아는 AI 자율 자동차, AI 자율 제조 등 피지컬 AI 기술 개발과 특화 인재 양성 추진을 통해 피지컬 AI 시장을 선도해 나갈 예정이다.
네이버는 클라우드 및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Software Defined Vehicle) 등 국내 모빌리티 산업과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SK와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GPU를 이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등 피지컬 AI에 투자한다. HBM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려는 방안도 논의 내용에 포함됐다.
AI 기반 첨단 기술 개발 위해 엔비디아·국내 산학연 협력 추진
AI 기술 공동 연구와 관련해서는 AI 기반 첨단 기술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와 국내 산·학·연 간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연구 기관과는 국내 슈퍼컴퓨터 6호기('한강')의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한다. 삼성전자,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세대학교와는 지능형 기지국(AI-RAN) 기술의 개발과 상용화를 목표로 협력한다. 아울러 국내 AI 우수 인재 및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AI 전문가, 엔지니어의 실습 중심 현장 교육 확대 등 중장기적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또 엔비디아와 중소벤처기업부가 협력해 추진하고 있는 '엔업(N-UP)' 프로그램 등 스타트업 지원도 확대한다.
AI와 피지컬 AI '풀스택' 전반에 걸쳐 역량을 갖춘 국내 기업들과 엔비디아의 협업이 강화되면서 우리나라의 AI 기반 혁신을 가속하고, 제조·서비스의 품질과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하고 있다면 한국은 이 속도를 잘 활용해 혁신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오늘 논의된 협력 방안이 한국을 넘어 국제 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접견은 아·태 지역의 공동 번영을 논의하는 APEC을 계기로 이뤄졌다"며 "글로벌 AI 선도 기업인 엔비디아와 협력해 'AI 3대 강국'과 'AI 기본 사회'의 실현 기반을 조성하고, 혁신의 혜택을 누구나 고르게 누리도록 국제 사회에 기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