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세계 최초 초전도 핵융합 연구 장치 시찰

  • 핵융합연 찾아 R&D 진행 상황 청취…연구자들 격려도

이재명 대통령이 7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7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핵융합 연구개발(R&D)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연구자들을 격려했다. 

안귀령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7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 앞서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방문은 AI(인공지능) 시대에 급증하는 전력 수요와 탄소 중립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에너지원인 핵융합 R&D 진행 상황을 청취하고, 연구자들의 노고를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 최초 초전도 핵융합 연구 장치인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시설을 둘러보면서 작동 원리와 연구 성과 등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KSTAR가 향후 핵융합 반응을 통한 전력 생산에 최적화한 환경 조성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들은 이재명 대통령은 "연구 장치를 영구적으로 돌릴 수 있느냐", "중수소, 삼중수소 같은 연료 투입이 24시간 가능한가" 등의 질문을 하기도 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10m 높이의 KSTAR 핵심 장치를 가리키며 "주로 어떤 연구를 하는 것이냐"며 장치 내 플라스마 발생 원리, 핵융합을 일으키는 기제 등을 연이어 물었다. 

남용운 핵융합연 KSTAR 연구본부장은 "KSTAR 건설을 통해 핵융합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데 성공했다"며 "이제부터는 인공지능 기술과 한국형 실증로 개발을 통해 핵융합 상용화의 시대를 앞서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방문에는 배경훈 과기부총리,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과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오영국 핵융합연 원장 등이 함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