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장은 11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종묘 인근 재개발 논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세계유산 지정 해제 가능성은 그야말로 기우"라며 "세계유산 지정은 탁월한 가치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인근 건물이 판단 요소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고시했다. 이에 따라 세운4구역 건물 최고 높이가 기존 71.9m에서 141.9m로 2배 가까이 상향 조정돼, 세계문화유산인 종묘 경관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오 시장은 "세계유산은 종묘 내에 있는 정전이다. 정전은 건축물 자체도 역사적인 의미가 있지만 사실은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핵심 내용은 종묘제례악 같은 콘텐츠"라며 "마치 그 앞에 건물이 지어지는 게 가장 중요한 판단 요소인 것처럼 선동하는 것은 정부가 할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분명히 법적으로는 종묘 담장으로부터 100m까지가 영향 구역이다. 국제적으로 그 업무를 담당하는 그 국제기구조차도 그 너머는 언급한 적이 없다"며 "정부가 과잉 해석을 하고 확장 해석을 해서 계속해서 서울시의 도시 계획에 불필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화체육부 장관이 여기에 동조를 하신 셈이고 총리까지 거기에 편승을 하신 모양새"라며 "국가기관끼리 혹은 중앙정부와 지자체 혹은 지자체와 지자체가 일과 관련해서 업무 갈등이 있다면 국무총리나 국무총리실이 당연히 해야 될 일은 선동이 아닌 갈등 조정"이라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오 시장은 재개발 이익이 토지주 등 특정 집단에 돌아간다는 주장에도 적극 반박했다
그는 "세운상가를 철거하고 폭 100m 규모의 녹지 축을 만들어 종로에서 청계천, 남산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경제성을 갖추기 위해 첫째로 높이 제한을 완화할 필요가 있고, 두번째는 공공기여를 늘려 더 넓은 녹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지 사업자에게 개발이익을 주기 위한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서울시의 도시계획 취지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있는 점에도 불만을 드러냈다. 오 시장은 "건물은 종묘 정면으로 세워지는 것이 아니라 양옆으로 지어진다"며 "세운상가를 허물고 폭 100m의 녹지 축을 남산에서 종묘까지 조성하면 종묘의 접근성과 경관이 오히려 개선되고 역사적 가치가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정부는 세운상가가 허물어지고 녹지 축이 생긴다는 것을 이야기하지 않는다"며 "필지가 다 나뉘어 있는 특성상 정부의 희망대로 진행할 경우 꼬마빌딩이 세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진정으로 세계유산을 걱정한다면 극단적인 표현으로 폄하하고 갈등을 부추기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필요하다면 국무총리와 언제든 공개토론은 물론 정부와 깊이 있는 논의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