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격의 K-방산]"중국산 부품 의존·보안 이슈가 발목"…무인화 넘어 AI 방산 준비하려면

  • 산업은 앞서가는데 보안·공급망은 제자리… 군-민 협력 체계 구축이 관건

고양 일산 킨텍스에 열린 서울 ADEX 2025에서  관람객이 AI 지휘소를 체험하고 있다사진아주경제DB
고양 일산 킨텍스에 열린 서울 ADEX 2025에서 관람객이 AI 지휘소를 체험하고 있다.[사진=아주경제DB]
업계에선 방위 산업의 AI 전환을 위해 군과 민간 간 협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군사 작전 정보가 보안 등급에 묶여 외부 공유가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방위 산업 발전은 물론 기술 개발을 막는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인화 기술의 첨병(尖兵)인 드론 등에 사용되는 높은 중국 부품 의존도도 장기적인 리스크로 지목된다.

19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LIG넥스원이 최근 공개한 'AI 지휘통제실 플랫폼'은 아직 별다른 납품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전장 상황을 분석해 지휘관의 결심 속도를 높이도록 설계된 첨단 AI 시스템이지만 동시에 군 기밀과도 맞닿아 있어 실제 군 내부에 적용하기까지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군사 작전은 지휘관급 간부가 열람 가능한 보안 문서로 엄격히 관리돼 민간 기업에 제공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다.

군 내부에선 민간 기업에 어디까지 정보를 제공해야 할지가 기술 개발의 최대 난제로 꼽힌다. 방위사업청은 예산을 확보해 내년부터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한 국방 특화 AI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밝혔지만 민간과 협력하는 수준, 방법론 등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방산 무기 부품의 높은 중국 의존도도 극복해야 할 과제다. 대표적인 부품이 중국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이다. 중국 MCU는 낮은 가격과 조달 편의성을 앞세워 국내 방산업계 전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실제 한국경영자총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중간재 수입 1위 국가는 중국(27.7%)이다. 지난해 주요 수입 품목 비중은 프로세서·컨트롤러(10.2%), 메모리(6.3%)가 각각 1위, 3위를 차지했다. AI 환경에 필수적인 데이터 저장·처리에 쓰이는 중간재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다는 의미다.

방산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만든 부품은 구조가 비교적 단순해 국내에서도 생산할 수 있지만 가격 경쟁력을 고려하면 중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 부품이 없으면 사실상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인 '무기 가성비'를 갖추기 어렵다"고 말했다. 

첨단 무인전을 이끌 드론은 한국 방위 산업의 중국 의존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정부는 '50만 드론군' 양성을 목표로 내년에 군 교육용 드론 1만여 대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중국 업체 배불리기라는 지적에 정책 추진 의지가 반감되고 있다. 교육용 드론 납품 단가를 맞추기 위해선 배터리 등 13종 부품 중 12종을 중국산으로 채워야 한다는 지적 때문이다. 정부는 추가 예산을 확보해 교육 드론 기체당 단가를 기존 17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높여 중국 의존도를 낮추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민간과 군 간 유연한 기술 협력을 통해 무인·AI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박주홍 포스텍 IT기술융합공학과 교수는 "무인 AI 시대 방산 무기 활성화에 있어 군과 기업 간 믿음이 부족한 게 한계점으로 지적된다"며 "국내 방위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