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노동장관 "구조적 변화 속 '노동 있는 산업전환' 중요과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사진고용노동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사진=고용노동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25일 "인공지능(AI)와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에너지 전환 등 거대한 구조적 변화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급격한 산업전환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누구도 뒤처지지 않고 모두가 함께 변화에 적응해 새로운 일자리로 이동할 수 있는 '노동이 있는 산업전환'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열린 '산업전환 고용안전 전문가 포럼' 출범식 및 1차 회의에 참석해 "우리 경제의 체질을 바꾸고 일자리의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한 대응방안 마련이 절실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포럼은 탄소중립 및 디지털·AI 전환 등 산업전환에 따라 지원의 필요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업종·지역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기반으로 노동전환 및 고용안정 등을 지원하기 위한 중장기 고용노동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첫 회의에는 김 장관과 고용·노동 및 지역·산업분야 전문가 12명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는 '탄소중립 주요업종 현황 및 디지털·AI 전환에 따른 고용영향', '탄소중립 주요업종 인력수급 현황' 등을 주제로 전문가 발제가 이어졌다. 이후 위원들의 자유로운 토론이 진행됐다.

노동부는 내년 3월까지 월 2회 포럼을 개최한 뒤 이를 토대로 산업전환에 따른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전문가 포럼 등을 통해 산업과 직무 변화를 예측하고 산업 전환에 대응해 누구나 필요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에 나설 것"이라며 "이직·재취업 과정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망 구축 방안을 설계·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