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나무가 운영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사진=연합뉴스]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발생한 해킹 사고와 관련해 재차 고개를 숙였다.
오 대표는 28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사이버 침해 사고로 심려를 끼쳐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이번 사고는 업비트 보안 관리가 미흡한 데 따른 것으로,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두나무 자체 조사 결과 이번 해킹으로 인해 회원 자산 386억원, 사측 자산 59억원 등 총 445억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회원 자산 피해 386억원 중 23억원은 동결 조치했다. 두나무 측은 회원 피해 자산을 전액 보전하겠다고 강조했다.
사고 조사 과정에서 블록체인에 공개된 다수의 업비트 지갑 트랜잭션(거래 기록)을 분석하면 비밀번호를 추정할 수 있다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기도 했다. 현재 업비트는 이에 대해 조치한 상태다.
오 대표는 “전사적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이번 침해 사고와 관련해 보안 시스템 전반을 다시 살펴보고 있다”며 “지갑 시스템도 전면 개편중이다. 안정성이 확인되는 즉시 가상자산 입출금을 재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를 계기로 향후 더욱 보안을 강화하는 전사적 노력을 다하겠다”며 “종합적인 보안 시스템 고도화 등 향후 재발 방지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업비트는 27일 오전 4시 42분 445억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당했다. 업비트는 사고를 인지한 뒤 같은날 오전 8시 55분부터 △가상자산 입출금·입금 반환 △대체불가토큰(NFT) 입출금 △스테이킹 신청 등 서비스를 중단하고 점검에 나섰다. 업비트 외부로 이동한 가상자산을 추적·동결하는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
오 대표는 28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사이버 침해 사고로 심려를 끼쳐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이번 사고는 업비트 보안 관리가 미흡한 데 따른 것으로,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두나무 자체 조사 결과 이번 해킹으로 인해 회원 자산 386억원, 사측 자산 59억원 등 총 445억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회원 자산 피해 386억원 중 23억원은 동결 조치했다. 두나무 측은 회원 피해 자산을 전액 보전하겠다고 강조했다.
사고 조사 과정에서 블록체인에 공개된 다수의 업비트 지갑 트랜잭션(거래 기록)을 분석하면 비밀번호를 추정할 수 있다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기도 했다. 현재 업비트는 이에 대해 조치한 상태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를 계기로 향후 더욱 보안을 강화하는 전사적 노력을 다하겠다”며 “종합적인 보안 시스템 고도화 등 향후 재발 방지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업비트는 27일 오전 4시 42분 445억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당했다. 업비트는 사고를 인지한 뒤 같은날 오전 8시 55분부터 △가상자산 입출금·입금 반환 △대체불가토큰(NFT) 입출금 △스테이킹 신청 등 서비스를 중단하고 점검에 나섰다. 업비트 외부로 이동한 가상자산을 추적·동결하는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