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이 8월 한달간 83원 폭등으로 1089원까지 치솟았고 1일기준 1110원을 기록해 원료수입이나 외화부채가 높은 기업은 타격이 커질 전망이다.
고환율이 글로벌 경기침체와 强달러가 맞물려 빚어낸 결과이어서 장기조짐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정유업계는 원유와 석유제품 간의 가격차이가 극도로 좁혀지면서 정제마진이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환율까지 올라 경영상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최근 국제유가가 110달러 선에서 안정되는 추세여서 국내 원자재 도입 가격도 안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는데, 환율 급등으로 가격 불확실성이 커져서 향후 경영결정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로 원유를 수입하는 정유업계 입장에서는 외화부채가 증가하고 이런 환차손에 따른 비용 급증으로 경영에 커다란 짐을 떠안는다.
정유업계는 해외에서 원유를 들여올 때 현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은행이 먼저 달러로 대금을 지불하게 하고 60∼90일 뒤에 대금을 결제하는 기한부 어음 방식을 쓰고 있다.
예를 들어 1달러당 1000원에 구입한 원유 대금을 환율상승으로 1100원의 오른 환율로 갚아야 하는 환차손이 발생하는 것이다. 하루에도 가만히 앉아서 수십억에서 수백억의 손실을 본다는 셈이다.
이 때문에 SK에너지는 지난 1분기 1500억원에 이어 상반기 3500억원 가량의 환차손을 입었다. SK에너지는 환율이 1원 상승할 때마다 30억원 정도의 환차손을 입는 것으로 알려졌다.
GS칼텍스는 상반기에 1000억원이 넘는 환차손을 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GS칼텍스는 지난 1분기 2254억원의 영업이익을 내고도 2천억원대 환차손 때문에 232억원의 적자를 낸 적이 있다.
SK에너지는 환율 급등으로 이날 하루 장부상 수치이긴 하지만 300억원 넘게 날렸다. 원유수입 대금이 외화부채로 잡혀 원ㆍ달러 환율 1원 상승 때 20억원에 가까운 환차손을 본다. 여기다 환율 급등세가 이어지면서 금융권의 달러 부족이 가속화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달러 부족으로 외화대출이 줄거나 중단되면 현물시장에서의 원유 도입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어 매일 외환시장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2분기에 사상 최대의 경영실적을 올렸던 정유업계는 3분기에는 경영성적이 곤두박질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서동필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환율 상승이 세계적인 경기부진과 달러화만의 강세에서 비롯됐기 때문에 업계 전반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은 크다”고 분석했다.
또 “연초 예상 환율은 연평균치라 당장 환율이 급등한다고 해서 부담이 갑자기 커지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 환율 움직임이 연말까지 간다면 경영 압박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준성 기자 fresh@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