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 제조업이 위기에 빠졌다. 글로벌 금융 위기로 중국 제조업이 타격을 받게 되면서 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프랑스 크레디리요네증권(CLSA)은 아시아태평양시장 조사를 통해 중국의 12월 구매자관리지수(PMI)가 41.2로 지난 11월 사상 최저 기록이었던 40.9보다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PMI가 상승세를 나타냈지만 5개월째 위축된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에 전문가들은 주목하고 있다. PMI가 50보다 아래일 경우 경기가 위축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CLSA는 중국 고용지수도 12월 45.2를 기록해 5개월 연속 위축된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주요 외신은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 대한 수출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제조업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수출 및 주문량이 현저하게 줄면서 신규 주문 지수는 37을 기록했고 수출 주문 지수 역시 33.6에 머물러 중국 경제의 43%를 차지하는 제조업은 큰 타격을 받았다.
게다가 중국의 생산지수도 11월의 39.2보다 더 하락해 12월 38.6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같은 중국의 수출 감소와 제조업 지수의 하락은 중국 경기 침체의 주요 요소로 작용하면서 중국의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은 5.5%로 증가하는데 그쳐 15년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중국은 올해 2400만명의 구직자들이 한꺼번에 몰려 취업 전선에 비상이 걸릴 것이 확실시되고 있어 실업 문제도 경제 침체 극복에 큰 장애물로 작용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중국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경기부양을 위한 중국 당국의 움직임 역시 가속화하고 있다. 원자바오 총리는 지난해 4조위안(약 800조원) 규모의 '중국판 뉴딜정책'을 잇는 제2의 고강도 경기부양책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원 총리는 "내수 진작 정책은 중국 경제를 부양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면서 "중국 정부는 수출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내수 진작 정책에 힘을 기울이며 지속적으로 추가 부양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정부는 좀 더 광범위하고 적극적인 소비 진작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