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IPTV 사업자 8천억원 투자... “2011년 손익분기 달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2-22 11:4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IPTV 산업에 대한 3개 사업자의 투자금액은 모두 8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민수 한양대 경영대 교수는 23일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가 주최하는 `IPTV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제언' 세미나에서 `IPTV 생태계 활성화 방안 모색'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힐 예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IPTV 및 망 고도화 사업에 1조6400억원을 투입한데 이어 올해는 콘텐츠, 플랫폼, 단말기 개발 등 IPTV 사업에만 36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LG데이콤도 IPTV 전국 서비스에 박차를 가하기로 하고 콘텐츠 확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등에 3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IPTV 시장 활성화가 불투명하다고 판단, 시장상황에 맞춰 투자를 진행키로 한 SK브로드밴드는 올해 망 고도화를 제외한 콘텐츠, 단말기 등 순수 IPTV사업에만 1500억원 정도를 투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또 KT와 SK브로드밴드의 손익분기점(BEP)이 VOD(주문형비디오) 가입자를 포함해 300만명, LG데이콤은 70만명이 될 것으로 예측하면서 현상태로는 2011년을 넘겨야 사업자들의 BEP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특히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200만명 중 실시간 IPTV 제공이 가능한 가입자는 50%에 불과하고 경쟁매체인 케이블 및 위성방송과 비교해 차별화된 콘텐츠, 마케팅 툴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IPTV의 최대강점으로 평가돼 온 교육, 전자상거래, 엔터테인먼트 등은 아직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IPTV를 축으로 한 결합서비스 마케팅이 본격화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IPTV 서비스가 부진한 요인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IPTV서비스 요금을 신고제로 전환하여 요금자율성을 확보토록 하는 한편 IPTV의 신개념 광고모델 도입을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실효성있는 콘텐츠 동등접근 규제를 도입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기존 방송사업자를 IPTV콘텐츠 사업자로 재신고하도록 한 조항과 권역별로 3분의 1로 제한된 점유율 규제도 폐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신 교수는 "IPTV를 u헬스, u러닝,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스마트홈, u시티, 콘텐츠산업 등 신성장동력화할 수 있는 품목들의 플랫폼이자 인프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디지털 민주주의와 디지털 경제ㆍ문화사회를 위한 플랫폼이나 네트워크 정책을 수립하지 않으면 IPTV 산업은 부분적 성과에 그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