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육지 면적과 총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아시아ㆍ아프리카.
이 지역 대학 총장들이 낙후된 경제상황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한 자리에서 머리를 맞댄다.
17일 고려대학교 주최로 열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아시아ㆍ아프리카 지역 대학총장포럼(University Presidents' Forum on Climate Change & Sustainable Development in Asia & Africa)'에 22개 아시아ㆍ아프리카 지역 대학 총장 및 환경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국제 협력을 통한 빈곤과 기후변화 극복 방안을 추진한다.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인구 과잉 △자본 및 기술력 부족 △낙후된 산업 시설 △정치적 후진성 등의 이유로 고질적 빈곤을 면치 못하고 있다.
세계평균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이 지역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끌어 올리기 위해서는 농·수산업 등 저부가가치 산업에서 전기·전자, 화학·중공업 등으로 산업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 그렇지만 개발선진국에 집중된 전세계 경제 구조적 문제와 자체 결함으로 산업 발전은 요원하기만 하다.
장기간 빈곤에 시달리고 있음에도, 산업화에 따른 지구 온난화, 산림 및 토양의 황폐화, 에너지 자원의 고갈 등의 폐해를 고스란히 겪고있다.
하지만 기후 변화의 근본적 책임은 서구 사회의 산업발전과 한국, 중국,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가들의 공업화에 따른 것이다.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근본적인 원인 제공자라고 보기 어렵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서 소비되는 화석에너지 소비는 전세계 총 소비량의 3.1%(2005년 기준)에 불과하다. 이는 20년이 지난 2030년(3.4%)이 돼도 크게 늘지 않을 예상이다.
결국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부의 불평등', '책임의 평등'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이번 포럼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조를 구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또 개별 국가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국제적 문제로 공론화하기 위한 움직임이기도 하다.
대학 총장들은 포럼에서 △기후변화 대응전략과 각 국가의 지속가능성 전략 제시 △기후변화 대응 공동기술ㆍ전략 개발을 위한 대학 간 협력네트워크 결성 및 공동대응 중요성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각 국가별 대처 현황 및 향후 계획 공유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공동 사업 및 장ㆍ단기 프로그램 발전 가능성 모색 △기후변화 취약국가들 간의 공동 발전방안 모색을 통해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성 관련 분야에서의 선도적 역할을 위한 초석 마련 등 폭넓은 논의를 벌일 예정이다.
특히 반기문 UN사무총장도 이날 포럼에서 특별기조연설을 할 정도로 아시아ㆍ아프리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논의 마지막에는 포럼 결과를 공식화하고 의미를 높이기 위해 환경 관련 지속가능한 성장 공동 선언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아시아ㆍ아프리카 지역 11개 대학 총장(6개교) 및 부총장(5개교)과 말레이시아, 라오스, 부르나이,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6개국 주한대사가 참석한다.
연세대ㆍ한양대ㆍ중앙대ㆍ이화여대 등 국내 주요 11개 대학 총장들도 자리해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