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당분간은 금융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9일 이 총재는 정례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경제성장률, 생산, 소비, 세계경제 등이 모두 상승세를 띄고 있다"면서 "경기가 꾸준히 개선되고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는데 주안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이어가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다만 그는 "현재의 경제 지표 및 상황들을 종합했을 때 2.0%의 기준금리는 통화 완화 정도가 상당히 강한 수준이며, 이것은 우리가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정부가 여러 채널을 통해 기준금리 인상에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 데 대한 한은의 입장 표시로 해석된다.
이 총재는 "정부의 각종 부동산 시장 규제책과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주택의 가격상승세는 둔화되고 있으며 주택대출 증가속도도 떨어졌다"며 "하지만 여전히 불안심리가 남아있어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시장성 금리에 대해서는 "최근 양도성예금증서(CD)를 비롯해 예금과 대출 금리가 오르고 있지만 현재 금리 수준에서는 그다지 높다고 판단하지 않는다"며 "기업이나 가계에 특별히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다고는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3분기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예상보다 3분기 경제 성장률은 좋게 나올 전망이지만 2분기만은 못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지난해 말과 올해 초 경기 악화로 업계의 재고조정이 있었기 때문에 2분기 이후에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오는 착시효과가 일부 있다"고 설명했다.
경상수지에 대해서는 "올해 사상 최대 규모의 흑자를 기록할 전망으로, 내년에도 흑자가 이어지겠지만 규모는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 총재는 물가와 관련해서는 "수요 쪽의 압력이 별로 없다"면서 "공급 쪽에서 교란이 없다면 크게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총재는 이번 금통위를 통해 기준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견을 분명히 했다.
그는 "언젠가는 금리를 올리거나 내려야하지만 그동안의 발언이 다음달에 금리를 올린겠다는 예고는 아니었다"며 "금리 인상이 먼 훗날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전달하는 차원에서 한 말"이라고 설명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