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나무림 관리에 효과적인 ‘소나무림 재해저감사업’ 확대
산림재해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는 소나무림을 건강하게 육성하기 위한 소나무림 관리대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산림청은 지난해 이상고온 등의 영향으로 집단 고사한 남부지방 소나무 105만 그루를 전량 제거한데 이어 올해부터 소나무림 건강성 증대에 효과가 큰 것으로 입증된 '소나무림 재해저감사업'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 경남 산청, 전남 영광 등 9개 지역에서 소나무림 재해저감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339ha의 소나무림에 대한 강도의 '솎아베기'를 실시했다. 올해도 5650ha의 '솎아베기’를 통해 소나무림의 적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소나무 생육에 필요로 한 햇빛·수분(양분)을 원활이 공급해 재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힌다는 계획이다.
한편, 산림청은 지난해 재해저감 시범사업을 통해 병해충 밀도를 줄이는 성과를 거둠과 동시에 목재로 활용할 수 있는 나무를 전량 수집(8.4천㎥)한 결과 약 7억원의 수익을 올려 산주소득 증대에 기여했다. 올해도 약 60억원(20만㎥ 수집)을 산주에게 돌려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1970년대 우리 산림의 50% 이상을 차지했던 소나무림은 서식환경 변화와 활엽수와의 경쟁에서 퇴출되는 등 현재 23%(150만ha)까지 감소했다"며 "올해부터 소나무림 재해저감사업을 본격화해 건강한 소나무림 육성, 산림병해충 방제비용 절감, 산주소득 증대 등 적극적인 소나무림 관리를 통해 일석 삼조의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