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민지 기자) 홈쇼핑 업계의 ‘뜨거운 감자’인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채널이 연내 도입된다.
현재 5개 TV홈쇼핑이 있지만, 대기업 제품 판매에 치우쳐 중소기업 제품을 전담하는 채널을 허가하겠다는 게 방통위의 생각이다. 이와 관련 방통위는 내부 TF를 만들어 선정 기준과 발표 시기 등을 조율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기홈쇼핑 사업자 선정에는 공익성이 가장 먼저 담보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최근 중기 전용 TV홈쇼핑 선정과 관련해 정책 방향을 논하는 자리에서 중소기업 전용 홈쇼핑 사업자는 공적 자금을 50% 이상 보유한 업체가 되어야 하며, 선정 후 지분 매각을 금지하는 정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상품 판매 수수료를 30% 이내로 낮추고 정액제 판매수수료 폐지를 촉구했다.
최재섭 남서울대학교 유통학과 교수는 “신규 홈쇼핑사는 중소기업 판로 확보라는 공익적 기능 수행과 시장에서 사유화되지 않는 ‘공공재적’ 지분구조가 이뤄져야 한다”며 “홈쇼핑을 통한 수익은 중소기업 진흥에 환원되는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중기 홈쇼핑을 소비자들이 쉽고 자주 찾을 수 있는 채널이 되도록 자생력을 키우는 것이 급선무다.
중소기업제품 판로개척이라는 기본 취지에 맞게 우수 중소기업제품을 소비자에게 가능하면 많이 노출시켜 소비자에게 우수상품으로 검증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방송시간을 편성해야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수수료 부담을 최소화하고 지배구조에 대한 소유제한 등 구체적인 경영계획 수립이 가능해야한다. 그래야 수익을 우선으로 하는 기존 TV홈쇼핑채널과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기존 홈쇼핑이 하기 어려운 순기능역할을 할 수 가 있다.
무엇보다 우수 중소기업 제품의 개발과 공정한 경쟁을 위한 새로운 패턴의 마케팅 등 소비자보호와 소비자 권익이 실질적으로 증대되는 판매정책 구현의 구체적인 계획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중소기업전용 홈쇼핑 설립 취지에 맞게 자본에 휘둘리지 않는 중소기업제품판로 확보와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