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적극적인 수입확대정책을 펴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고 관영 차이나데일리가 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 상무부가 6일 베이징(北京)에서 개최한 중국 수입포럼에서 국제무역담판대표부의 충취안(崇泉) 부대표의 발언을 인용해 그같이 전했다. 국제무역담판대표부는 미국의 무역대표부(USTR)에 해당하는 부처다.
충 부대표는 "중국이 자국내에서 조달이 부족한 제품의 수입을 특히 장려할 예정이며 첨단기술과 그 핵심제품이 그 대상"이라면서 "중국이 무역흑자를 보는 국가들에서 수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대미 수입을 크게 늘려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차이나데일리는 밝혔다.
미국은 그동안 중국이 위안화 평가절하 정책을 통해 엄청난 대미흑자를 챙기고 있다고 비난해왔으며 이는 중국에 정치.경제적인 압박으로 작용해왔다.
충 부대표는 이어 미국의 통계자료를 인용해 올 상반기 미국의 대중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35.7% 상승했다면서 이는 중국의 노력에 의한 것이라고 소개하고, 그런 반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2008년의 2천900억달러, 2009년의 1천900억달러에서 올해는 1천500억달러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장옌성(張燕生)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대외경제연구소장은 "수출위주에서 내수확대로 정책을 바꾸면서 무역수지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향후 5년 내에 더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수입촉진 차원에서 수입절차 단순화와 수입비용 절감대책을 추진중이다.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5년새 800품목의 수입면허가 해제됐다.
상무부는 아울러 오는 11월 저장(浙江)성에서 아프리카 제품전을 여는 등 적극적인 외국상품 판매촉진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차이나데일리는 전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최근 수입확대정책은 미국의 대중 첨단기술 제한정책을 겨냥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중국 정부는 특히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는 미국이 첨단기술 제품의 수출을 막고 있기 때문이라며 미중 전략경제대화 등을 통해 이들 제품의 수출해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중국을 방문중인 래리 서머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과 토머스 도닐런 국가안보 부보좌관을 포함한 미측 대표단이 위안화 환율 평가절상과 대중 무역적자 문제 해결 요구에 맞서 미국에 첨단기술 제품 수출 제한 해소를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