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침체로 중대형 아파트의 수요가 줄자 실수요층이 두터운 중소형 아파트를 공급해 분양률을 높인다는 취지에서다.
당초 올 하반기 경기 고양 삼송지구에 아파트를 분양할 예정이었던 A업체의 경우 분양시기를 미루고 대형에서 소형 평형으로 설계 변경을 검토 중이다.
이 업체 관계자는 “대형평형을 모두 소형으로 바꾸는 것은 아니지만 당초 계획이 대형 60가구 중소형 40가구였다면 변경 후에는 대형 30가구 중소형 70가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분양성 악화와 대형평형 위주 공급 등 악재로 분양계획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며 “최근 지방 시장을 중심으로 분양 시장이 살아나는 듯 하지만 아직 분양에 나설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전 가구에 설계 변경을 계획하는 건설사도 있다. 김포 한강신도시에 아파트를 분양할 예정인 B사는 전용면적 122㎡ 이상 가구를 모두 109㎡ 이하로 변경할 계획이다.
B사 관계자는 “대형 평형을 줄이고 중소형 비율을 높이면 그만큼 가구 수가 늘게 돼 계단이나 복도 같은 공용면적이 늘게 된다”며 “그렇게 되면 사실상 용적률을 늘려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예를 들어 당초 25층 높이로 지을 수 있었다면 27~28층까지는 지을 수 있게 해줘야 수익성을 보장받을 수 있지 않겠냐”고 주장했다.
현재 설계변경 인·허가 승인권한은 국토해양부가 갖고 있다. LH사업단이 관련내용을 검토한 후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
LH관계자는 “올 해 설계변경 요청이 들어온 데만 9개 블록이나 된다”며 “건설사의 요구대로 해주되 원칙은 바뀐 택지개발 업무처리지침에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상·하수도, 폐기물처리시설 등 기반시설 용량 허용 범위 내에서 처리해야 하다 보니 건설사의 요구를 다 들어 줄 수는 없는 상황이다”며 “중소형택지를 분양 받은 업체와 형평성에 문제로 용적률은 높여줄 수 없다”고 덧붙였다.
kye30901·shortr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