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와 지식경제부는 행정안전부, 문화관광부 등과 공동으로 26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우리나라가 2015년 모바일 최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차세대 모바일 주도권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전략에서 차세대 모바일 시장 선점 및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핵심기술 역량 확보, 선순환적 생태계 조성 등 2대 전략과 6개 세부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무선망 시스템 및 단말기 등 관련 장비 매출액 363조원, 24만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우선 핵심기술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4G 장비, 부품, 모바일 소프트웨어(SW) 등 개발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4G 장비 상용화는 물론 단말기용 핵심 부품을 조기 상용화하고 중소 부품업체 참여를 확대할 예정이다.
모바일 SW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올 상반기 중 통신사업자, 제조업체 등과 함께 독자 SW 플랫폼 개발 적정성 검토 및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또 글로벌 모바일 클러스트 구축, 인력 양성, 국제 표준화 주도 등 기술 인프라도 보강해 나갈 방침이다.
모바일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석·박사급 고급인력, 고용연계 맞춤형 인력, 모바일 서비스 기획 및 개발자 등 올해 1700여명의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4G 이후 기가급 통신환경에 대비한 대형 국가 연구개발(R&D)을 추진하기 위해 상반기 중 '기가 코리아(Giga Korea) 전략'도 수립키로 했다.
이와 함께 선순환적 모바일 생태계 조성을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한다.
차세대 이동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 망에 대한 본격 투자를 통해 하반기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용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LTE 망 구축을 위해 2014년까지 6조7379억원을 투자한다.
아울러 콘텐츠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4G 기반의 혁신적인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핵심기술 개발, 공공부분 도입촉진, 법제도 개선 등 '범부처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상반기 중 마련키로 했다.
또 통신사업자, 제조업체, 서비스 사업자 등 모든 모바일 생태계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의회 운영을 범부처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