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테이블 왼쪽)과 파하미 이집트 교통부 장관(오른쪽)이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26일 국토해양부와 이집트 교통부 간 교통협력 MOU가 체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집트 정부에서 현재 계획 중인 3개 고속철도 노선과, 철도사업, 도시 순환도로 등 다양한 PPP(Private Public Partnership·민관 투자 사업) 사업에 한국기업의 참여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토부는 정종환 장관이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이집트를 방문기간 동안 한-이집트간 주택, 수자원, 철도, 도로 교통 분야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고 27일 밝혔다.
특히 25일 면담을 가진 엘-마그라비 이집트 주택도시부 장관은 이집트의 당면 과제인 저소득층 주택 부족 문제 해결에 한국의 신도시 개발 경험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평가했다고 국토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특히 이집트는 정부 재정여건상 대부분의 주택사업을 PPP 사업으로 계획하고 있어 한국기업의 많은 참여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정 장관은 한국의 신도시개발 경험을 소개하고 실제 사업을 집행하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이집트 신도시 개발청간 협력 등 분야별 다양한 실체적 협력을 제안했고 양측은 우선 정부간 협력 MOU를 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진전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집트는 현지 Orascom과 같은 건설사가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관계로 국내 건설사가 단순 도급사업에 참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곳”이라며 “하지만 이번 방문을 계기로 PPP 사업을 통한 국내기업 진출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검토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고
한편 국토부는 이집트 측이 회담동안 한국 측에 이집트 신도시 현장에 가볼 것을 수차례 권유하는 등 한국 신도시 개발 경험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이집트 측이 희망하는 PPP 방식의 신도시개발 사업에 관심 있는 우리기업들이 있을 경우 향후 구체적인 참여방안을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