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반도체 수출 전년대비 9.3%↓...258억달러 전망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올해 메모리반도체 수출이 지난해보다 9.3% 감소한 258억달러에 머물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시장 포화 상태에 도달한 메모리반도체를 대신해 시스템반도체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선정.육성할 방침이다.

31일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호텔에서 권오현 삼성전자 사장과 권오철 하이닉스반도체 사장 등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시스템반도체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올해 우리나라 전체 반도체 수출은 작년대비 3.5% 늘어난 525억달러로 예측됐다.

메모리반도체 수출은 가격하락 영향으로 9.3% 감소해 258억달러에 머물 전망이다. 대신 시스템반도체 수출은 18.7% 급등한 191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가격의 경우, D램은 작년대비 44% 줄어든 1.4~1.5달러, 낸드플래시는 33% 떨어진 1.2~1.4달러 선에서 형성될 전망이다.

반도체 설비투자는 작년대비 4.5% 상승한 124억달러에 그치지만 시스템반도체 설비투자는 96.8% 증가한 41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지경부는 올해 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해 총 191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4G용 베이스밴드 모뎀칩과 고주파 칩 등 핵심부품개발을 추진하고, 자동차용 제어칩 등 차세대 주력제품 칩 연구도 함께 진행한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동부하이텍 등 3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와 중소 팹리스(설계전문업체)와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하고, 오는 2015년까지 스타팹리스 업체 10개사를 육성한다.

판교 테크노밸리와 충북 테크노파크를 연결한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방안도 상반기 중 확정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