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택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은 16일 오전 삼성 사장단회의에서 "이 회장이 최근 전경련에서 한 발언과 관련해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각계에서 논박이 이어지면서 '진의는 그게 아니었는데…' 라며 당혹스러워 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회의가 끝나고 사장단 앞에서 "그동안 정부가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내걸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위한 정책을 펼치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며 "동반성장에 대해서는 이 회장의 의지도 강한만큼 할 수 있는 한 정부 정책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사회와 함께 간다는 자세로 겸손하고 자숙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영에 더욱 전념하는 삼성이 되겠다"고 역설했다.
김 실장이 공식적인 입장을 통해 진화에 나선 것은 '말이 말을 낳는' 등 갈등구조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삼성 고위 관계자는 "김 부회장의 말은 이 회장의 의지와 같다"며 "전경련 발언이 사회 전반에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때로는 이념논쟁으로까지 과잉 확산되는데 대해 이 회장의 우려감이 커, 해명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 회장은 지난 10일 "이익공유제가 사회주의 사회 용어인지 공산주의 용어인지 모르겠다"며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의 초과이익공유제 제안을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이에 정 위원장은 물론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까지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재반박에 나섰다. 청와대 역시 '낙제발언'과 관련해 "불쾌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결국 관련 사안이 삼성을 비롯한 재계와 정부의 자존심 대결로 확대되면서 삼성측이 직접 진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