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민원 제기 전 상담부터"… 유익한 금융 팁 10가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3-16 15: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금융회사로부터 피해를 입었을 경우 즉시 민원을 제기하는 것보다 상담을 먼저 받아보는 게 좋다. 또 민원을 제기할 때는 반드시 증거자료를 갖춰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상담이나 민원을 진행할 때 알아두면 유익한 10가지 사항을 16일 발표했다.

△금융상담은 국번없이 1332 = 금융거래 등과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1332로 전화를 걸어 금감원 상담원에게 상담을 받는 게 좋다.

△야간·주말상담도 가능 = 업무에 바빠 시간을 내기 어렵다면 야간상담이나 주말상담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금감원 콜센터는 평일 오후 9시까지 운영되며, 토요일에도 이용 가능하다.

△민원 전 상담 거쳐야 = 금감원에 민원을 제기하면 처리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상담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많으므로 일단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보자.

△민원 제기할 때 증거자료 챙겨야 = 금감원은 금융회사와 민원인의 의견이 다를 때 증거에 따라 판단을 한다. 민원을 제기하기 전에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자료를 챙겨야 한다.

△인터넷 민원 제기 가능 = 금감원에 찾아가 민원을 제기하는 것은 시간·비용부담이 크다. 인터넷이나 우편을 통해서도 민원 제기가 가능한 만큼 온라인 민원시스템(www.fcsc.kr)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 가능 = 사망한 부모의 금융 계좌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굳이 여러 금융회사를 찾아다닐 필요없이 금감원 상속인 금융거래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은행 등 12개 권역의 계좌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제도권 금융회사 조회 필수 = 사금융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거래하려는 금융회사가 제도권 회사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금감원 홈페이지의 제도권 금융회사 조회시스템을 활용하면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다.

△소송보다 분쟁조정 효율적 = 민원인이 금융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승소할 확률은 높지 않다. 금감원에 분쟁조정을 신청하면 훨씬 신속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금융소비자포털 이용 생활화 = 금융지식이 부족해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으려면 금융소비자포털(consumer.fss.or.kr)에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수시로 포털에 접속해 금융상품 비교정보, 금융회사 경영정보, 금융거래 유의사항, 금융법규 등을 확인하면 큰 도움이 된다.

△금융교육 적극 참여 = 금감원은 기관과 학교 등을 대상으로 금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금융지식을 쌓는 게 좋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