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대비 4.7%.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8년 10월, 4.8%를 기록한 이래 29개월만에 최고치다. 바로 전달과 비교하면 0.5% 올랐다.
지난해 2월 2.7%를 기록했던 소비자물가는 8월까지 2%대를 유지했다. 이후 9월 3.6%, 10월 4.1%, 11월 3.3%, 12월 3.5%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올 들어 대내적으로는 구제역과 이상한파, 대외적으로는 중동 정정불안이라는 변수가 등장하면서 1월 4.1%, 2월 4.5%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른바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4.9% 올랐다. 생선·채소·과실류 등 신선식품 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19% 상승했다.
전달에 비해서는 소폭(0.6%) 하락했지만 전년 동월대비로는 지난해 6월 이후 10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세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도 전년 동월대비 3.3% 올랐다. 2009년 8월 3.1%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부문별로는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의 상승세가 눈에 띄었다.
농산물(17.4%)과 축산물(11.6%), 수산물(10.5%)의 가격이 크게 올랐고 공업제품도 석유류(15.3%)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5.9%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중에서 마늘(78%), 파(63.6%), 배추(34%), 돼지고기(31.7%)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국산 쇠고기(-9.2%), 오이(-22.4%), 풋고추(-22.5%) 등은 하락했다.
공업제품 중에서는 국제 금값 급등에 따라 금반지가 25.2% 올랐고, 국제 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등유(24.9%)와 경유(18.9%), 휘발유(13.8%)도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정부의 전·월세 가격 안정 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은 급등했다.
전세는 2003년 9월(3.9%) 이후, 7년 6개월만에 최고치로 나타났고 월세도 2.1%를 기록 2002년 5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개인 서비스 중에서는 외식 삼겹살(12.8%), 외식 돼지갈비(11.9%), 미용료(7.1%) 등이 크게 올랐다. 반면 학교 급식비는 21.3% 하락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3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의 가격이 높게 유지되는 가운데 유가 상승 등 공급측 충격에 주로 기인했다”며 “다만 구제역이 진정되고 농산물 공급이 정상화하면서 2/4분기 이후 농축산물가격 불안 요인은 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동 정세 불안으로 고유가가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풍부한 글로벌 유동성, 신흥국 수요 증가, 재고 감소 등으로 곡물 등 원자재가격도 강세를 지속하고 있고 국제유가 및 원자재가격 상승이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과 서비스요금 등 국내물가에 반영될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