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고 측은 “비비고 광화문점이나 강남 삼성타운과 같이 대표적인 업무 밀집지역에서 기업체 회의나 모임 등에 쓰일 대량 주문이 많다”며 “테이크아웃 비율이 30%를 웃돈다”고 설명했다.
국내뿐 아니라 중국, 미국, 싱가포르 등 해외 매장에서도 테이크아웃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베이징점의 경우 인근에 위치한 기업들의 대량주문에 힘입어 테이크아웃 비율이 전체 판매비중의 25%를 상회한다.
비비고는 런칭 단계에서부터 테이크아웃을 염두해 둔 메뉴를 기획해왔다. 비비고(bibigp)라는 이름도 비비다’의 우리말 어원을 살리고 테이크아웃(Take Out)한다는 투 고(To-go)의 의미를 포함해 네이밍 한 것이다.
이에 테이크아웃 시 나물의 물기가 빠져 비빔밥의 맛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수분이 유출되지 않는 조리법을 개발했고, 용기 또한 대나무로 특별 제작해 차별화를 시도했다.
CJ푸드빌 관계자는 “비비고 테이크아웃의 인기는 한식 세계화의 성공을 점칠 수 있는 긍정적 신호”라며 ‘장기적으로 건강한 패스트푸드인 비빔밥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전 세계에 비빔밥을 성공적으로 상품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