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시장조사 전문기관 NPD에 따르면 미국 3분기 평판 TV 시장 점유율(금액 기준)은 삼성전자 37%, LG전자 13%로 이들 업체의 점유율 합계는 50%다. 이어 파나소닉 9%, 소니 9%, 도시바 7%의 순이었다.
한국 기업들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은 이번 분기가 처음으로 최근 일본 소니, 파나소닉의 TV시장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미국 시장 점유율을 늘려왔다.
실제 삼성과 LG 미국 TV시장 점유율은 1분기 45%(삼성 34%, LG 11%), 2분기 48%(삼성 37%, LG 11%), 3분기 50%에 도달했다.
판매량에서도 삼성·LG전자의 점유율 합계는 1분기 34%, 2분기 35%, 3분기 36%로 점차 높아졌다.
국내 업체들의 금액 점유율이 판매량 점유율보다 훨씬 높은 것은 고가의 프리미엄급 제품이 많이 팔렸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제품별로 액정표시장치(LCD) TV의 3분기 미국 시장 점유율은 금액 기준으로 삼성 36%, LG 12%, 소니 10%, 도시바 8%, 샤프 8% 순이다. 한국 업체의 점유율 합계는 48%였다.
플라스마디스플레이패널(PDP) TV의 점유율은 파나소닉이 1분기 38%, 2분기 35%, 3분기 40%의 점유율을 보이며 삼성(1·2분기 각 45%, 3분기 38%)을 따라잡았다. LG는 같은 기간 9→11→14%로 높아졌다.
특히 미국 3D TV 시장은 한국 업체의 제품 비중이 갈수록 커져 금액 기준으로 1분기 57%(삼성 51%, LG 6%)에서 2분기 69%(삼성 59%, LG 10%), 3분기 71%(삼성 56%, LG 15%)로 수직 상승했다.
소니 점유율은 1분기 28%, 2분기 15%, 3분기 12%로 하락했고 파나소닉은 1·2·3분기 각 12%로 점유율이 제자리걸음이다. 반면 2분기까지 4위에 머물렀던 LG전자는 소니, 파나소닉을 제치고 2위로 뛰어올랐다.
3D TV 중 70%가량을 차지하는 LCD 3D TV 점유율도 삼성·LG가 1분기 57%, 2분기 71%, 3분기 77%로 2분기 만에 20%포인트 높였다.
1~3분기 점유율 추이는 삼성이 50→59→60%, LG는 7→12→17%로 높아진 반면 소니는 39→23→16%로 내려앉았다.
TV업계 관계자는 “삼성, LG가 선의의 경쟁을 펼치면서 미국 등 글로벌 TV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