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TIA, 부품소재 M&A데스크 운영성과 발표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지식경제부 산하 부품소재 지원기관인 한국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이하 KITIA)는 21일 올해 '부품소재 M&A데스크' 운영성과를 발표했다.

이 발표에서 국내 부품소재 상장사 가운데 유가증권은 화학섬유가, 코스닥은 전자전기 업종의 인수·합병(M&A) 니즈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간 M&A 보다는 원천기술확보가 용이한 해외 M&A(크로스보더)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부품소재 M&A데스크'는 해외 M&A 중개기관 34개사(비공식포함 97개), 국내 M&A 중개기관 28개사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들 M&A 중개기관을 중심으로 국내 부품소재기업들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부품소재 M&A데스크’가 올해 들어 11월 현재까지 발굴한 총 124건의 M&A 타겟기업 중 83%에 달하는 102건이 해외 M&A 안건으로 나타났다. 국내는 22건이다.

지역별로는 일본이 4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 아시아 24건, 유럽 23건, 미주지역 22건이 뒤를 이었다.

M&A를 추진하고 있는 국내 부품소재기업들을 유형별로 보면 총 58개사 중 유가증권 16개(28%), 코스닥 19개(33%), 비상장 23개(39%)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전자전기 업종의 M&A 수요가 37건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기계, 화학섬유가 각각 17건, 15건으로 뒤를 이었다.

'부품소재 M&A데스크'는 올 한해 동안 11개국 34개사와 부품소재 글로벌 M&A 제휴 네트워크인 ‘MAP그룹(MCT M&A Promotion Group)’을 결성, 이를 중심으로 해외 M&A를 추진하는 국내 부품소재기업들에게 M&A 타겟정보를 제공 중이다.

MAP그룹은 커버지역에 있어 규모로는 세계 4대 제휴 네트워크이며 대표적인 글로벌 M&A 제휴 네트워크로는 'Global M&A'(48개국), 'M&A International'(41개국), 'Mergers Alliance'(30개국) 등이 있으나 국내 M&A 자문기관 중 글로벌 M&A 제휴 네트워크의 회원 지위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없다.

MAP그룹은 국내 최초로 글로벌 M&A 자문기관을 아우르는 연합체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글로벌 M&A 시장에서 한국의 지위를 향상시킨 의미를 보유하고 있다고 KITIA는 밝혔다.

신순식 KITIA 상근부회장은 "M&A를 통한 경쟁력 확보는 중소기업의 생존 및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부상했다"며 "과거 국내 M&A에 국한됐던 시장 흐름이 최근 해외 M&A로 변화되는 추세는 원천기술확보와 글로벌 진출 확대 측면에서 국가 경쟁력 확대에도 매우 긍정적 양상"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