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경남도와 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초ㆍ중ㆍ고생 49만 1000여명 가운데 26만 6000여명(54%)이 무상급식 혜택을 받는다.
10개 군(郡)과 8개 시(市)의 읍ㆍ면 지역 초ㆍ중ㆍ고생은 100%, 8개 시(市)의 동(洞) 지역 초등학교 4~6학년까지 혜택이 확대된다.
지난해 전체 학생 49만 1000여명 중 10개 군 지역의 초ㆍ중ㆍ고생 전체와 8개 시지역 읍ㆍ면의 초ㆍ중학생 18만 4000여명(37%)이 무상급식 대상자인 것과 비교하면 7만 6000여명 늘어났다.
무상급식 확대는 2010년 6ㆍ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김두관 경남도지사와 고영진 경남교육감의 핵심공약이다.
2014년까지 의무교육 대상인 초ㆍ중학생 전체와 시지역의 읍ㆍ면 고등학생까지 무상급식이 확대된다.
그러나 매년 무상급식 비용이 큰 폭으로 늘어나 비용일부를 부담해야 할 지자체들이 불만을 제기해 실제로 분담액을 줄이는 지자체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지난해 경남도와 도교육청, 18개 시ㆍ군이 부담한 무상급식 식품비 총액은 738억원이지만 올해는 1221억원으로 65%나 늘었다.
시ㆍ군 부담액 역시 320억원에서 489억원으로 53%나 늘었다.
이 때문에 18개 시ㆍ군 가운데 학생이 가장 많은 창원시는 경남도와 교육청이 요청한 올해 무상급식 식품비 118억원 중 60억원만, 학생이 3번째 많은 진주시는 41억 3000만원 중 20억 6600만원만 반영해 예산을 확정했다.
이렇게 되면 창원시에서 1만 4000여명, 진주시에서 4800여명 등 1만 8800여명의 학생들이 무상급식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경남도와 도교육청은 “줄어든 예산이 추경 등에 반영돼 전체 무상급식 계획이 차질이 없도록 창원시와 진주시를 상대로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