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 정부 소식통은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지난 1년간 이란으로부터의 석유 수입이 늘었다”면서 “이를 1년 전으로 되돌리는 것은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는 이란의 핵개발 의혹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對) 이란 제재에도 우리나라는 가격을 이유로 전체 원유수입 중 이란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2010년(7260만배럴) 8.3%에서 2011년(11월말 기준ㆍ8259만배럴) 9.7%로 늘었는데 이를 다시 2010년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뜻이다.
정부는 정유업체도 자체적으로 수입대체선을 찾기 위해 공들이고 있는 만큼 업체들의 자발적인 노력을 통해 이런 비율 축소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일각에는 수입대체선으로 아랍에미리트(UAE)를 주목하는 시각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란과 달리 전체 원유 수입에서 UAE산의 비율은 2010년(1억565만배럴) 12.1%에서 지난해(11월말 기준ㆍ8163만배럴) 9.6%로 감소했기 때문.
정부가 이처럼 이란산 원유수입 비율을 낮추려는 것은 이란 호르무즈 해협의 정세 악화로 이란 원유 수출이 중단되는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동시에 미국 국방수권법의 면제ㆍ예외조항을 적용받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안보상의 이유나 상당량의 이란산 석유수입을 감축할 경우 특정국가에 대한 법 적용을 유예하거나 법 적용에서 예외로 인정할 수 있도록 한 국방수권법 조항을 적용받으려면 이란에 대한 석유 의존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