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측위원회 관계자는 "내일 있을 연석회의에서 최종결론이 나겠지만 정부 방침에 상관없이 실무 접촉을 진행할 수도 있다"면서 "남북관계 발전과 민간교류 복원을 위해 이번 실무접촉이 원만하게 추진되기를 정부에 다시 한번 강력히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는 정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천식 통일부 차관은 앞서 김상근 6ㆍ15남측위 상임대표를 만나 북측위 접촉 신청에 대한 수리 거부 입장을 전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비정치 분야에서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를 선별적으로 허용하고 있지만, 정치적 분야는 다르다”면서 “6ㆍ15남측위와 북측위의 접촉이 의도하지 않게 정치적으로 변질해 남북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6ㆍ15 공동선언의 이행문제는 당국 간 대화를 통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도 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도 지난 1일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주최 조찬강연회에서 6ㆍ15남측위와 북측위의 접촉에 부정적 견해를 내비치며 “남북관계 상황이 민감한데 민간단체가 나서서 정치활동을 하면 더 꼬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남측위는 지난달 27일 남북교류 재개 등을 위해 2월 초 중국 선양에서 만날 것을 제안했고, 북측위는 오는 9~10일 중국 선양에서 만나자고 화답해 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