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둔화로 주춤했던 국제원유 가격이 최근 빠르게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높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지정학적 중동 위험, 미국의 제3차 양적완화(QE3) 가능성도 물가를 위협하는 악재다.
1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국계 IB인 모건스탠리는 “한국은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3.4%로 지난해 1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여전히 높고 유가변동성과 전세금 등을 고려하면 안심하기 이르다”고 전망했다.
바클레이스 캐피털,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등도 “풍부한 유동성에 따른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이란의 지정학적 위험, 유가 충격 가능성이 한국의 물가안정세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 IB는 한국의 물가 불안을 자극하는 최대 요인으로 국제 유가를 꼽았다.
국제원자재 가격지수인 CRB지수는 지난 13일 기준 314.06으로 전 저점인 지난해 12월15일 294.45보다 6.7% 상승했다. 이는 국제유가 탓이다.
지난 13일 싱가포르거래소의 두바이유 현물가격은 배럴당 115.91달러다. 지난해 5월 3일 117.90달러 이후 약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같은 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는 100.91달러다. 지난 1월19일 100.39달러 이후 약 한 달 만에 다시 100달러선을 돌파했다.
세계 경기 둔화로 한동안 주춤했던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를 탄 데는 이란과 서방국 간 긴장이 고조된 영향이 크다.
국제유가 오름세가 지속하면 원유를 100%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는 큰 충격을 받게 된다.
국내외 주요 경제연구기관들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지난해보다 낮은 3% 초중반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는 유가 안정이라는 조건이 충족됐을 때 가능하다.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와 미국의 QE3 실시 가능성 등 다른 불안 요인도 많다.
모건스탠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글로벌 경기 회복을 위해 올해 2분기에 선제로 QE3를 시행할 수 있다. 이는 자본 유입과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을 촉발해 신흥국 물가를 끌어올릴 것이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