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더해 글로벌 재정위기 여파로 중소기업의 상반기 자금조달은 삼중고에 시달릴 전망이다.
16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 직접 자금 조달액은 2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기업(72조2000억원)의 3.5% 수준이다. 특히 대기업들은 글로벌 재정 우려에 따라 직접금융 조달금액을 2010년 52조원에서 작년 72조원으로 늘리는 등 기민하게 대처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3조7000억원에서 2조5000억원으로 오히려 줄어든 상황이다.
중소기업의 직접자금 조달이 어려운 이유는 유상증자나 기업공개(IPO)를 통한 주식 발행이 쉽지 않고, 신용등급이 낮아 회사채 발행도 힘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은 주로 은행권을 통해 부동산 담보나 신용으로 대출을 자금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 또한 쉽지 않다. 작년 말 기준 중소기업의 은행대출 잔액은 441조원으로 대기업(115조원)의 약 3.8배에 달한다.
더욱이 직접 자금마련의 여력이 있는 대기업과는 달리 중소기업은 높은 금리와 부동산 담보를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은행권 대출 자체가 버거운 상황이다. 실제로 대기업의 대출금리가 보통 연 4∼5%인 것에 반해 중소기업은 최고 9% 수준에 달한다.
때문에 작년 11월 중소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중앙회가 금융이용 애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가장 많은 28.6%가 높은 대출금리를 뽑았다.
이같은 상황에서 중소기업에 드리워진 또 하나의 고난은 유로존 재정위기의 여파에 따른 상반기 경기 저하다.
그에 따라 은행권의 기업대출 또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안정지향적인 대기업 위주로 흐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은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올해 1월 중소기업의 자금사정 BSI는 82로 2009년 5월(82)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대기업은 지난해 12월 92에서 올해 1월 94로 오히려 호전됐다.
하지만 작년 12월 16개 은행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중소기업이 `0(제로)‘, 대기업이 `6’이었다. 지수가 낮을수록 대출에 소극적인 것을 뜻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은 대기업처럼 주식이나 회사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기가 거의 불가능해 은행 대출이 어려워질 경우 유동성의 심각한 위기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 하고 있다.
이는 결국 일자리 감소와 내수 침체, 은행의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져 은행 건전성마저 나빠지는 결과를 양산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소기업이 무너지면 은행의 자산건전성도 함께 무너진다는 생각으로 은행들의 더 적극적인 대출 태도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단발적인 자금지원 대책보다는 중소기업의 직접 자금조달이 용이토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와 관련, 금융위원회는 중소기업 전용 제3의 주식시장을 연내 개설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준비 중이다. 금융투자협회는 오는 5월 중소기업들이 쉽게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제3의 채권시장을 열 예정이다.
또 한은은 담보력이 약한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대출을 늘리기 위해 오는 4월부터 1조원 규모의 `중소기업 신용대출 연계 특별지원 한도‘를 신설할 방침이다.
수출입은행도 올해 신성장 중소기업들에 연간 1조원의 금융을 우대 제공하고 우량 중소기업 육성사업인 `히든챔피언 육성사업’에 지난해보다 21% 늘어난 3조5천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