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를 위해 귀농·귀촌 관련 자료를 통합·연계하는 포털사이트를 확대·개편하고, 지자체별 지원센터를 일원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문가 상담기능 확충을 위해 중앙단위 종합센터를 농촌진흥청에 설치하고, 지역에도 시·군별 특성에 맞는 상담센터를 설치해 방문상담 체계를 3월 안에 구축할 방침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2일 ‘2011년 귀농인구 조사 결과 및 2012년 귀농 귀촌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언제 어디서나 귀농·귀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지원을 확대하고, 직업별·단계별 특성 등을 반영하는 과정을 개발·운영키로 했다.
21개 기관을 통해 이론 중심 단기(1박 2일) 및 실습 중심 중장기(2개월 등)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했다. 제대군인, 새터민 등에게는 특화 교육을 실시하고, 대기업 퇴직 대책의 일환으로 귀농·귀촌 교육을 민간으로 활성화하기로 했다.
농어촌 정착을 위한 창업 및 세제 지원도 확대된다. 농어업 기반(농지 구입, 시설 건립, 양식장 구입 등) 구축 및 주택 확보를 위한 자금 600억원을 지원한다. 융자는 금리 3%,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으로 농어업 기반 확보 2억원, 주택 구입·신축 4000만원 등 최대 2억4000만원까지 지원 가능하다.
농어촌지역 소재 주택을 취득해 3년 이상 보유한 후, 일반 주택 양도시 양도소득세를 비과세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귀농일로부터 3년 이내에 구입한 농지 등에 대한 지방취득세 50%도 감면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농식품부는 △농어촌 체험, 멘토링 상담 등 지자체 도시민 유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27개 시·군으로 확대 △예비 귀농·귀촌인을 위한 '제2회 귀농·귀촌 페스티벌' 개최 △귀농·귀촌 성공요인 발굴·확산을 위한 ‘귀농·귀촌 포럼’을 인터넷 동호회, 예비 귀농인 등과 함께 운영할 계획이다.
서규용 농식품부 장관은 “도시에서 살다가 시골로 이주하는 가구가 올해 2만가구를 훨씬 넘을 것”이라며 “대도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66.3%가 농어촌 이주를 희망하고 있고, 13.9%는 5∼10년 내 이주 계획이 있어 귀농 가구가 급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수도권에서 나간 인구가 들어온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작년 귀농 가구는 1만503가구로 그 전년인 2010년(4067가구)의 2.6배에 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