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가격담합 의혹” VS 호텔 “억측이다"

(아주경제 강경록기자)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서울시내 특급호텔들에 대해 칼날을 겨눴다.

공정위는 지난 8일 서울시내 7개 특급호텔들에 대해 결혼식 비용 및 객실료 관련 자료를 요청했다. 공정위가 칼날을 겨눈 호텔들은 롯데호텔, 신라호텔,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 인터컨티넨탈호텔, 더플라자, 조선호텔 등이다. 한 호텔 관계자는 “공정위 조사관들이 와서 결혼식과 관련된 각종 비용에 대한 자료들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공정위, “서울시내 특급호텔들, 객실료·웨딩비 등 의심스러워”
공정위는 서울 시내 특급호텔들이 가격 담합을 통해 비슷한 수준으로 결혼식과 연회 요금을 정한 것이 아닌지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급 호텔의 결혼 비용은 인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수천만원에서 억대로 비슷한 수준이다.

이와 함께 공정위는 각 호텔 객실요금 담합 여부도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도심 특급호텔의 하루 숙박료는 20만~25만원 선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조사하고 있는 사안에 대해선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호텔예약사이트업계 관계자는 “서울의 4~5성급 호텔의 1박 평균 객실료는 200달러 전후로 이 중 특1급에 속하는 몇몇 호텔들은 300달러 이상인 경우도 있다”고 파악했다. 내국인이 단 하룻밤 숙박료로 30만원 이상을 내기에는 부담일 수 밖에 없는 금액이다.

공정위는 이들 특급호텔들이 예식비를 끼워팔기식으로 소비자에게 강매했는지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식사비를 제외한 음료, 장식, 영상, 공연, 폐백, 웨딩 등 기타 선택사항을 소비자에게 강매하고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공정위는 업계가 경쟁이 제한적인 시장 특성 때문에 과다하게 비용을 책정해 온 것이 아니냐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일부 소비자들은 “호텔 예식비용은 다 합쳐 대략 1억~2억원선”이라며 “예약이 넘쳐난다는 이유로 호텔측 선택사항을 거절하면 예식시에 부당대우를 받을까 어쩔수 없이 추가했다”고 하소연했다.

◆ 호텔들, “시장논리일 뿐, 억측이다”
호텔들의 볼멘 목소리도 나온다. 호텔 객실료와 연회비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호텔관계자는 “물론 고객들의 수요가 호텔 객실료와 예식 및 연회비 책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이용객들이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고 이유없이 비용이 높다면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반문했다. 즉 시장논리에 의해 호텔 객실가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돼 가격 담합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 특급호텔들이 제시하는 논리다.

또 특급호텔을 이용하는 주 이용객들이 대부분 외국인들이라 국내 이용객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는게 이들의 주장. 한 특급호텔 관계자는 “객실가격은 각 호텔마다 천차만별"이라며 "대부분 내국인 고객보다 외국인 고객들이 주로 이용하는데 자체적으로 조사한 결과 객실가격에 대한 불만은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끼워팔기 주장에 대해서도 불만을 제기했다. 특급호텔의 한 관계자는 “일부가 그렇게 할 수도 있지만 전체가 그런것은 아니다"며 “현명한 소비자가 많은 요즘같은 시대에 강매한다고 당할 사람이 어디있겠냐”며 섣부른 추측을 경계했다.

◆ 여행업계 "특급호텔들, 모기업 등에 입고 모럴헤저드 빠져"
하지만 대형 호텔들을 바라보는 여행업계의 시각은 냉소적이다. 대기업 소유의 특급호텔들은 모기업인 대기업의 후원을 받아 힘들이지 않고 판촉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모기업의 행사와 이들이 유치한 국제회의 및 정부 행사로 인해 연중 내내 객실과 연회장 수요가 충분하다는게 여행업계의 시선이다.

특히 삼성·신라호텔, 롯데·롯데호텔, SK·워커힐 호텔, 한화·플라자호텔, GS·인터컨티넨탈호텔 등 서울 주요 위치에 들어선 호텔 대부분이 대기업 계열로 그룹 내 호텔 수요를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안정적인 수요로 인해 특급호텔들의 요금은 연중 일정 수준이상 상향 평준화돼 있다고 분석했다.

유명 호텔 예약사이트 관계자는 “외국 하이엔드급 해외 유명 호텔기업들이 한국에 투자를 꺼려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라며 “한국 호텔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