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통합진보당과 지역구 76곳에서 여론조사 경선을 실시키로 하면서 복수의 조사기관을 가동할 방침이어서 수억원대 추가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선을 치르기도 전에 예선에서 실탄이 모두 바닥나는 것 아니냐는 하소연이 나오고 있다.
12일 민주당에 따르면 지역구 81곳(183명)에서 모바일·현장투표와 여론조사 경선이 14일까지 마무리된다. 이 경선에 참여하는 예비후보들은 기탁금으로 2000만원을 당에 냈다. 카드 결제나 분할 납부는 안 된다. '현찰 박치기'로 총 36억6000여만원이 소요된 것이다.
한 예로 경남지역 2곳(4명)에선 100% 여론조사 경선이 실시됐다. 이 경우 기탁금은 1000만원으로 총 4000만원을 당은 경선비용으로 거둬들였다.
추가비용도 발생했다. 도서와 복합선거구는 현장투표소 추가 설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는 게 민주당 측의 설명이다. 중앙선관위 위탁 1개 투표소 설치시 150만원(2인 경선의 경우), 100만원(3인 경선의 경우)씩 추가비용이 후보자의 부담으로 돌아갔다. 실제 철원·화천·양구·인제 선거구에서는 후보 1인당 450만원을 추가로 냈다.
경쟁후보 규모로 보면 경기지역 21곳(45명), 서울 15곳(37명), 전북 10곳(21명) 순이었다.
호남권 한 중진의원 측은 "국민에게 투표권을 돌려준다는 명분으로 모바일 투표를 실시하면서 더 많은 관리비용이 들어간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민주당과 진보당의 야권연대에 따라 전국 76곳에서 여론조사 경선을 벌여야 한다는 점이다. 양당은 경선비용을 2명의 후보에게 절반씩 부담토록 했다. 또 수억원대의 추가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 당직자는 "공정성 등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공개입찰 방식을 통해 2곳 이상 복수의 기관에 의뢰해 경선이 실시될 것"이라며 "선정 업체나 비용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여론조사기관 등에 따르면 지역별로 수백만원의 조사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전화자동응답(ARS) 방식이 아닌 임의번호걸기(RDD) 방식이 적용될 경우, 200만원가량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여론조사기관 관계자는 "양당 후보들이 신뢰도가 높은 RDD 방식을 선호할 것으로 보여 조사비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경기 출신 한 의원은 "야권연대도 중요하지만 중앙당에서 적절하게 후보 경쟁력 등을 판단해 조정해줄 필요가 있다"며 "그게 리더십이자 정치력"이라고 꼬집었다.
반면 서울 종로에 출마한 정세균 전 대표 측은 "RDD 방식으로 하면 비용이 좀 높아질 것"이라면서도 "야권연대는 총선 승리를 위한 길이기 때문에 돈이 문제되지는 않는다고 본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