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러는 CPU 및 모바일 AP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와 낸드플래시를 효율적으로 연계·제어하는 반도체로, 낸드플래시의 안정성과 속도 향상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LAMD인수는 SK하이닉스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기술과 글로벌을 모두 충족시키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게 됐다고 SK측은 설명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가 그룹 내 신성장동력으로 신속히 자리잡기 위해 인수와 협력을 포함한 다양한 전략을 발굴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LAMD는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설립된 회사로, 스토리지 컨트롤러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전량 지분 인수를 통해 LAMD의 기술과 인력, 자산 등을 100% 흡수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그간 자체 개발 및 파트너 업체와의 공동 개발을 통해 컨트롤러 기술 확보에 집중해왔으나, 이번 인수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낸드솔루션 개발을 더욱 앞당기고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빠르게 대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낸드플래시 시장은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으로 대표되는 모바일기기와 클라우드 확산에 따른 서버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과거 USB와 메모리카드 등에 사용되는 단품 중심에서 컨트롤러를 탑재한 고부가가치 솔루션 제품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11년에는 SSD(Solid State Drive)와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에 내장되는 낸드플래시), MCP 등 컨트롤러를 탑재한 고부가가치 솔루션 제품 비중이 전체 낸드플래시 제품 가운데 60% 수준에서 2015년 80%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하이닉스 권오철 사장은 “우수한 기술과 전문 인력을 보유한 LAMD 인수를 통해 SK하이닉스의 낸드플래시 경쟁력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적기 대응하며 고부가가치 낸드솔루션 제품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