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은 전국 만 35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남녀 1035명에게 대해 지난달 5일부터 26일까지 노후준비지표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55.2점(100점 만점 기준)이 나왔다고 15일 밝혔다.
영역별로 사회적 관계 63.9점, 건강한 생활습관 68.2점, 소득과 자산 40.5점, 여가활동 48.1점으로 나타나 건강에 대한 노후준비도에 비해 소득과 자산 노후준비도가 취약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57.0점으로 가장 높았고 40대 55.3점, 60대 53.1점, 30대 52.9점 순으로 조사됐다.
주거지역별로는 대도시 54.8점, 중소도시 55.4점, 농어촌 55.7점으로 주거지 규모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직종별로는 화이트칼라(관리자 및 사무직)가 59.1점으로 준비 수준이 가장 높은반면 블루칼라집단(기능·장치· 기계·조립분야)은 노후준비점수가 53.8점으로 가장 낮았다.
혼인상태별로는 기혼 56.9점, 미혼 42.8점, 이혼·별거·사별 43.9점으로 기혼의 경우가 노후준비수준이 높았다.
복지부와 연금공단은 민관 합동으로 노후준비 지표를 개발하고 16일 컨퍼런스를 개최함으로써 고령사회 대비 전 국민의 노후준비 인식 제고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노후준비지표를 활용해 준비가 부족한 영역을 확인하고 이를 채워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노후생활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을 통해 생애전환기별 1회 이상 노후설계교육 이수를 유도하는 등 노후설계 서비스 제공 기반도 구축키로 했다.
이재용 보건복지부 복지부 고령사회정책과장은 “민간보험업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전 국민의 노후준비 활성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