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운영위원회가 16일 개최한 현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아들의 병역 특혜 의혹 △논문표절 논란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을 제기하며 집중 공세를 벌였다.
민주통합당 우원식 의원은 현 후보자가 동대문구 장안동의 1평짜리 집에 주소지를 두고 있다 한달만에 연립주택이 들어서 이익을 본데 대해 “임차인인 현 후보자가 임대인이 양도소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도록 임대인의 위장전입을 동조 내지 방조한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현 후보자는 “제가 (장안동으로) 이사할 때 16가구가 사는 건물이 있었고 연립주택이 많았다. 제가 거기 3년을 살다가 강동구 고덕동으로 이사 왔다”며 “우리가 들어가고 한 달 뒤에 환지가 돼서 번지가 바뀐 것이며, 부동산투기를 한 적 없다”고 해명했다.
우 의원은 또 보도자료를 통해 “청와대가 현 후보자의 연임 사유로 ‘북한인권보호 기여’를 꼽았다”며 “그런데 현 후보자가 위원장 재임 중 발간한 ‘북한인권침해사례집’에는 신고인과 북한내 신고인의 가족·지인 실명, 피해사례, 일시 및 장소 등을 기재해 그들의 생명을 위협했다. 북한내 정치범들의 생명을 위험에 처하게 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진선미 의원은 “7편의 논문을 보면 타인의 논문 훔치기, 자기 논문 베끼기, 짜깁기 등 표절 백화점”이라며 “2001년 한양대에서 연구비를 수령한 뒤 연구기간이 지나서 논문을 발표했다. 게다가 제자의 논문을 표절했다”고 주장했다.
현 후보자는 “2004년에 인용에 관한 기준이 생겼는데 지금의 기준과는 다르다”고 말했고,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서는 “2001년에 연구비를 받았는데 미처 준비를 못 해서 늦게 작성했지만, 해당 제자를 만난 적 없다”고 답했다.
민주통합당 서영교 의원은 “국가인권위원장 재직시 30번 강연을 하며 1400여만원의 강연료를 받았고, 학생을 대상으로 강연하며 5곳에서 100만원 안팎을 챙겼다”며 “40만원 이상의 강의료를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한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민주통합당 송호창 의원도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현 위원장이 하금열 대통령실장의 요청으로 5월22일 오후 2시10분부터 3시30분까지 청와대를 방문했고, 하 실장은 현 위원장에게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과 민간인 사찰 직권조사의 진행 상황을 물었다”고 주장했다.
송 의원은 “대통령실장이 인권위원장을 불러 직권조사 진행 상황을 사전조율하는 것은 민간인 불법사찰 의혹의 진실을 덮으려는 행위”라며 “인권위를 청와대 비서실로 격하시키는 행위다. 인권위 수장으로서 자격 없음을 스스로 입증했다”고 비판했다.
선진통일당 성완종 원내대표는 “현 후보자가 대한상사 중재위원으로 활동한 1999년 6월∼2005년 5월 단 한 차례의 중재사건도 맡지 않았다”며 “중재위원으로 문제가 있었거나 직무를 해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인권위 직원들은 이날 한 일간지 광고면에 ‘인권위를 진심으로 걱정한다면 현 위원장 스스로 떠나야 한다’는 제목으로 위원장의 어록을 공개하고,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