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시민모임(이하 소시모)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선크림 34개 제품을 대상으로 자외선차단지수(SPF), 자외선A차단등급(PA) 등을 검사한 결과 효과는 동일하나 가격은 최대 28배의 차이를 나타냈다고 22일 밝혔다.
소시모에 따르면 선크림 34개 제품 중 자외선차단지수(SPF)가 50 이상, 자외선 차단 등급 A이상인 21개 제품은 자외선차단제의 핵심기능인 자외선차단 효과가 유사했다.
하지만 가격대는 28배에 달해 화장품 업계가 적잖은 폭리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에 유통되는 고가의 썬크림은 시슬리 40mL가 20만원, SKⅡ 30mL는 7만8000원, 샤넬 30mL는 6만3000원 등이다.
10mL당 단위가격이 가장 저렴한 제품은 홀리카홀리카의 ‘UV 매직 쉴드 레포츠 선’(1780원), 가장 비싼 제품은 시슬리 ‘쉬뻬 에끄랑 쏠레르 비자쥬 SPF50+’(5만원)로 차이를 보였다.
더욱이 미백기능 성분이 추가된 잇츠스킨 ‘2PM 선블록’(2800원)의 가격에 비해 미백기능이 없는 시슬리 제품과는 18분의1 수준에 이른다.
더불어 미백 기능이 있다고 표시한 제품 중 실제로 미백 성분 함유량을 공인할 수 없는 제품도 나왔다.
니베아 선페이스 선블록 화이트닝 크림, 한율 고결미백 선크림, 빌리프 UV 프로텍터 멀티 선스크린, 숨37° 선어웨이 멀티이펙트 선블록 등 4개 제품이 대표적이다.
소시모 측은 “이들 업체가 자체 개발한 미백 성분 함유량을 알아낼 수 있는 공인 방법이 없어 함량테스트를 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SPF 30~40, PA++ 이상인 4개 제품 또한 자외선차단 효과가 유사함에도 가격은 3배까지 벌이지는 것으로 기록됐다.
이들 제품 중 10mL당 가격이 가장 낮은 제품은 이니스프리의 ‘에코 세이프티 아쿠아 선 젤’(1500원), 가장 높은 제품은 헤라 ‘선 메이트 데일리’(4286원)였다.
수입 브랜드의 경우는 자외선차단지수를 허위 표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클라란스와 록시땅 제품은 차단지수가 40으로 표시됐으나 실제로는 각각 45%인 18, 55%인 22 수준에 그쳤다.
소시모 측은 “가격대가 비싼 제품이 자외선 차단 효과가 큰 건 아니다”라며 “가격대가 저렴한 제품도 효과면에서는 고가의 제품과 벌다른 차이가 없어 바람직한 소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공정위가 소시모에 예산을 지원해 5~6월 국가 공인 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한 것”이라며 “독과점과 불공정 부분에 대한 부분이 있다면 조사를 할 수 있겠지만 우선, 소비자의 바른 구매를 돕고자 실시된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