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각된 한일관계, 한풀 꺾였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13 18: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초강경 대응으로 나오던 일본의 공세가 한풀 꺾인 모양새다.

일본은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직후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와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이 직접 나서 ‘공세’를 취했고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주한대사를 소환하고 신각수 주일 한국대사를 초치해 항의하는 등 총공세를 폈다.

또 연례재무장관 회담을 취소하는 등 경제분야의 협력 거부도 불사하겠다는 의사를 우회적으로 표시했다. 일각에서는 일본 각료들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겠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면서 한국 정부를 자극하기도 했다.

일본은 독도문제의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 카드를 거론했지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액션’은 취하지 않고 있다.

정부 당국자들은 “언론에서 흘러나오는 이야기 외에는 일본이 공식 외교채널을 통해 우리 정부에 추가적인 조치나 항의 의사를 전달해 오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대응도 '확전 자제' 쪽으로 선회한 듯한 평가가 나온다.

청와대와 일선부처 모두 '기존의 대일외교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며 불필요하게 일본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일본을 자극할 수 있는 독도 해양시설물 및 방파제 건설 등과 같은 실효적 지배 강화를 위한 각종 조치도 유보하는 등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달 중순 예정됐던 독도방어 합동기동훈련도 내달 초로 연기됐다.

외교가에서는 본국에 소환된 무토 대사의 귀국 시기를 점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10년 11월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의 쿠릴열도 방문에 항의해 소환한 모스크바 주재 자국 대사를 귀국 나흘만에 돌려보낸 바 있다.

이후 영토문제에 대한 시각차는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러시아와 일본 관계는 점차 개선되는 수순을 밟았다.

그러나 한일 관계는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계기로 냉각기를 맞은 것과 별도로 곳곳에 암초가 수두룩해 당분간 개선되기는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이달 말이면 헌법재판소의 ‘위안부 문제 미해결’ 위헌 판결 1주년이 다가오며 내달초에는 연기된 독도방어 군사훈련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