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http://iit.kita.net, 원장: 오상봉)이 최근 발간한 '대중국 수출 감소원인과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대중국 수출부진은 유럽재정위기에 따른 중국 수출과 투자 부진 등 경기변동요인과 높은 가공무역 비중, 대중투자감소 등 우리 대중국 수출의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단기적 해결이 어려워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중국수출 감소원인으로는 첫째, 유럽재정위기 여파로 인한 중국의 수출과 투자 등 실물경제의 부진이 꼽힌다. EU는 중국의 최대 수출시장으로서 EU의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하면 중국의 총수출증가율은 4.6% 하락하는 등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한 한국의 대중국 수출이 중간재, 자본재 위주의 가공형 수출구조이기 때문에 중국의 수출부진이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보고서는 둘째로 중국시장에서 한국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세계의 공장으로서 축적된 기술과 중국정부의 산업고도화 정책으로 중국제품의 기술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되고 있고, 저렴한 가격과 유통망을 활용한 가격경쟁력 제고와 마케팅강화를 통해 중국제품의 시장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 반면 한국제품의 시장점유율은 10년 이상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셋째는 한국 기업의 대중국투자 감소와 현지매입 비중이 증가하면서 대중수출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한국의 대중수출이 투자연계형으로서 투자가 증가할수록 수출이 늘어나는 구조라며, 글로벌 금융위기와 중국내 경영환경 악화 등으로 대중국 투자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고 했다. 또한 2005년 이후 중국의 기술력 향상과 부품기업의 동반진출이 확대되면서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매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
보고서는 대중국 수출의 위기요인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내수진출을 위한 중국시장 마케팅 강화 △중국 서비스시장 진출 확대 △내수시장 진출형 수출구조로 전환 △한·중 FTA의 체결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국제무역연구원 이봉걸 수석연구원은 “중국은 향후에도 우리경제가 지속적 성장을 하는데 필요한 시장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시장세분화와 타겟시장 선정을 통한 맞춤형 진출 △브랜드 인지도 제고, 유통망 및 A/S망 구축 등 중국시장 마케팅 강화 △중국 로컬기업 및 다국적 기업을 등 판매처 다변화 △우리가 경쟁력을 갖춘 고급디지털 제품과 내구재를 중심으로 한 점진적 진입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