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국내 건설사들이 빚을 갚지 못해 대신 넘겨주는 부동산이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로 향후 부동산 경기 흐름에 따라 반등의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30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2007~2012년(9월 27일 기준)까지 법원에 나온 경매물건 중 채무자가 건설사인 10만2506개를 추려 반기별로 분석한 결과 2007년 상반기 9198개에서 올 상반기 4688개로 49.03%(4510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7년 이후 반기별 물건 수 기준으로 가장 적은 것이다.
반기별 물건 수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국제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 하반기였다. 이 시기 건설사가 채무자인 경매물건 수는 1만8331개로 같은 해 상반기(1만996개) 대비 66.77%(7335개) 증가해 최다건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건설사가 채무자인 경매 물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09년 상반기에 1만2440건으로 크게 감소한 이후 하반기에는 7149건까지 줄었다. 건설사 채무 물건수는 이후 1만건을 넘지 않고 있다. 등락을 되풀이하던 물건수는 올해 들어 처음으로 5000건 밑으로 떨어져 조사기간내 최저치인 4688건을 기록했다.
이 같은 현상은 총물건수 대비 건설사가 채무자인 물건수의 비율에서도 드러난다. 2007년 상반기 6.02%를 보여주던 비율은 최대물건수를 기록한 2008년 하반기 11.40%로 최대치에 도달했다. 이 비율은 물건수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올해 상반기 3.70%까지 떨어졌다.
박종보 부동산태인 연구원은 “비록 건설사가 채무자인 경매건은 줄었어도 여전히 어려운 여건”이라면서도 “그러나 차후 경기가 나아지면 회복속도가 빠를 것임을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