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후보는 이날 공평동 캠프에서 "남북화해를 바탕으로 북핵문제와 평화체제를 선순환시키겠다"며 이런 내용을 담은 통일·외교·안보정책을 발표했다.
안 후보는 우선 통일 정책으로 △남북관계-북핵문제-평화체제를 선순환적으로 해결 △남북 화해협력을 진전시켜 통일의 기반을 구축 △북방경제의 블루오션을 개척하는 3대 원칙을 제시했다.
안 후보는 남북장관급 회담을 개최해 남북 정상 간 핫라인 설치를 최우선 과제로 협상하는 등 남북대화를 재개할 방침이다. 남북 정상회담은 장관급 회담 등의 성과를 바탕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남측 서북도서방위사령부와 북측 서남전선사령부 간의 직통전화를 개설하고, 상설적인 분쟁해결기구로서 남북분쟁해결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서해 평화정착과 남북한 신뢰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나아가 6·4 합의를 복원하고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인정하는 전제 아래 남북 공동어로구역을 협의키로 했다.
안 후보는 6자회담을 기본 틀로 9·19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한반도 비핵화의 목표를 이뤄나가는 데에도 주력하고 남·북·미·중 간 4자 포럼도 개설키로 했다.
아울러 북방경제시대를 열어 중소기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한편 대륙철도 연결을 중심으로 도로와 해운이 결합하는 복합물류망을 구축하고 북방 자원·에너지 실크로드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안 후보는 외교정책으로 △한반도 평화를 굳건히 하는 조화외교 △외교공간을 확대하는 전략외교 △지구촌 문제 해결의 선도외교를 실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안 후보는 "굳건한 한·미동맹 토대 위에서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역점을 두는 조화로운 외교를 추진하고 중국과는 전략적 동반관계를 심화시키는 정책을 펴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우선 한·미동맹을 굳건히 발전시켜 포괄적 동맹관계를 구체화하는 외교를 추진키로 했다.
또 한·러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실질적으로 구현해 북방협력의 디딤돌을 놓을 예정이다.
일본과 관련해서는 미래를 함께하는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수립해 한반도 평화와 통일, 지역발전, 동아시아의 안정에 공헌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한·중·일 정상회의의 정례의제에 안보문제도 포함시키고 아세안 및 인도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하는 외교를 추진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