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조병원 에너지융합연구단 박사가 마그네슘-공기전지의 성능을 개선시킨 전극과 전지구조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마그네슘-공기전지 자동차 시험주행에 성공했다고 17일 발표했다.
기존 마그네슘-공기전지는 마그네슘음극에서 반응 효율이 낮고 공기양극에서 반응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여러 물질들의 합성을 통해 개발한 마그네슘음극과 공기양극의 탄소 소재 조성 구조를 변경해 반응 효율과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이고 에너지효율과 에너지밀도를 향상시켜 기존 대비 출력이 두 배 정도 향상시켰다.
이번에 개발된 마그네슘-공기전지는 방전될 경우 마그네슘 금속판과 소금물 전해액을 10분안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기존 리튬이차전지의 단점으로 지적됐던 긴 충전시간(최소 2시간 이상)과 충전인프라 부족의 대안이 될 수 있을 전망이다.
조 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전극조성 및 전지구조 기술은 전기자동차 등의 중대형 전지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마그네슘-공기전지의 주요 이슈를 해결한 것”이라며 “현재는 휘발유에 비해 3배 정도 비싸지만, 향후 기술이 최적화되고 반응 부산물인 수산화마그네슘의 재활용 기술 등이 개발된다면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