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장관은 17일 정부과천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제는 창의성을 경제의 핵심가치로 두고 새로운 부가가치, 일자리,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는 혁신적 경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성장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고용의 창출이 이뤄지는 창조경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과 ICT 기술역량을 고도화하겠다”며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고 신명나고 흔들림 없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장관은 “창조경제의 주역이 될 창의형 인재를 집중 양성하고 기초연구비중을 40%로 확대하며 연구 자율성 제고를 통해 기초과학 진흥에 힘쓰겠다”며 “지속적인 미래성장을 위해 국가 연구개발 투자를 꾸준히 확대하고 연구개발과 사업화 연계 강화로 R&D 투자가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에 기초한 융합 활성화로 새로운 성장기회와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며 “과학, 정보통신기술을 기존산업과 융합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과학·정보통신분야에서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최 장관은 “클라우드, 빅 데이터, 사물정보통신시대를 맞이해 새로운 인터넷 산업을 진흥하고 핵심기술인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인력도 양성해 나가겠다”며 “우리 문화에 기초한 독창적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이 인터넷을 통해 세계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최 장관은 우주사업과 관련해서는 “나로호의 성공적 발사를 바탕으로 한국형 발사체의 조기 개발과 달 탐사선 기술개발을 가속화하고 인공위성을 활용한 우주산업도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부처간 협력과 민관 공동노력으로 새롭게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며 “젊은이들이 세상을 바꿔보겠다는 큰 꿈을 꾸고 그 꿈의 실현을 위해 도전, 재도전할 수 있는 창업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소개했다.
최 장관은 “창업 초기기업을 위한 엔젤투자 및 경영지원 인프라를 크게 확충하고 기술거래 및 인수합병 활성화를 추진하겠다”며 “국가 연구개발 성과가 기술이전, 벤처창업 등 활발한 사업화로 이어지고 지식재산이 효율적으로 창출, 보호, 활용될 수 있는 국가적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연구개발 특구, 과기특성화 대학을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도 밝혔다.
최 장관은 “국민 모두가 정보통신의 혜택을 고루 누릴 수 있는 정보통신 최강국을 건설하겠다”며 “공공 와이파이 지역 확대와 열배 빠른 유선 인터넷 보급, 합리적 주파수정책 추진으로 네트워크를 고도화하고 융합 추세에 대응해 규제체계도 정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가계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알뜰폰과 단말기자급제 등으로 경쟁을 활성화하고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이버 침해사고에 대한 대응능력도 개선하고 정보보안 산업으로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름에 미래라는 단어가 들어간 유일한 부처”라며 “이는 말 그대로 국가의 미래를 책임진다는 의미이며 그렇기에 우리는 더욱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질 수 밖에 없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최 장관은 “지금부터 우리가 내딛는 한 걸음 한 걸음이 대한 민국의 미래, 희망의 새 시대를 열어갈 초석이라는 자부심과 사명감을 갖고 다함께 미래를 열어가자”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