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김관영 의원은 18일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그동안 국정감사 및 업무보고 때마다 용산사업 해체 우려와 대비를 강조해 왔다"며 "결국 국민세금이 투입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서울시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관영 의원은 "서울시가 서부이촌동을 포함시켜 사업을 키운 것도 사업이 좌초한 원인 중 하나"라며 "서울시는 서부이촌동 주민은 물론 서울시민에게 석고대죄 해야한다"고 말했다. 관련 책임자 문책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시는 지난 10일 토지소유 요건 미달로 자격이 상실된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시행자 지정을 취소하고 도시개발구역 지정도 해제 고시했다. 시는 연말까지 '도시관리계획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열악해진 서부이촌동의 주거환경 개선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주민의견을 반영해 개발방식을 다시 설정한다지만 주민들도 제각기 이해가 첨예해 의견을 모으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추후 소소이 진행되면 지역개발은 꿈조차 꿀 수 없는 상황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파장과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은 물론 정부, 코레일과 원점부터 다시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데 힘써야 한다"며 "제2·3의 용산같은 도심 재개발 파산사태를 막기 위해 전면적인 실태 조사나 감사도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