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수원지방법원 형사12부(부장판사 김정운) 심리로 열린 43차 공판에서는 사건 이후 처음으로 이 의원에 대한 검찰의 피고인 신문이 진행됐다.
재판부는 피고인석에 있던 이 의원을 증인석에 앉게 한 뒤 형사소송법에 규정된 진술 거부권을 고지하고 검찰이 신문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검사가 말문을 열기도 전에 "이 사건은 처음부터 국정원에 의해 날조됐으므로 답변을 일체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검찰은 사건 초기 자택과 사무실 압수수색 때 현장에 있던 비서관과 당원에 대해 최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며 "이미 수개월이 지나 도주와 증거인멸 가능성이 거의 없는데도 새해 벽두부터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명백한 정치보복이다. 이에 대한 항의로 검찰에 답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