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유출 사고는 KCB직원이 카드사의 전산 프로그램 개발 용역 수행 과정에서 고객 인적사항정보 등을 불법 수집해 일부를 유출한 데서 시작됐다.
17일 민주당 김영주 의원(영등포갑)이 캠코로부터 제출받은 '국민행복기금 업무지원 협약서'에 의하면 KCB는 국민행복기금의 운용기관인 캠코와 업무지원 협약을 맺었으며 신용평가점수 개선 및 신용관리서비스, 대국민 홍보 지원 서비스를 맡기로 했다.
협약서에는 캠코가 KCB의 서비스 제공에 따른 성과 발생 시 그 공적을 적극 추천하며, 대국민 홍보 시 KCB의 지원 사실을 명기한다는 사항이 명시돼 있다.
하지만 정보유출 사고의 여파가 확대되고 사건의 직접적 책임이 있는KCB에 대한 비난 여론이 커지면서 캠코는 KCB와 국민행복기금 업무지원 협약을 중단했다. 향후 KCB의 신뢰회복 추이를 보면서 협약의 해지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국민행복기금은 채무불이행자의 신용회복 지원 및 서민의 과다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지난해 3월 출범했다. 금융회사 및 대부업체 등으로부터 현재까지 총 287만명의 연체채무를 매입 또는 이관해 채무조정, 바꿔드림론, 자활프로그램 제공 및 복지지원을 위한 종합 신용회복 지원 업무를 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