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 한국 점령에 나선 글로벌 IT 기업 텐센트의 행보는 국내 게임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전문가들은 텐센트가 가진 막강한 자본과 글로벌 서비스 역량에 주목한다. ‘자본’과 ‘글로벌’이라는 키워드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한국 게임 시장의 성장 또는 종속화가 결정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텐센트의 시가총액은 약 1500억달러, 우리돈으로 약 150조원이 넘는 막대한 규모다. 자체 포털인 ‘QQ닷컴’을 시작으로 8억명 이상이 사용중인 PC메신저 ‘QQ메신저’와 6억명 이상이 가입한 모바일메신저 ‘위챗’ 등 온라인과 모바일을 아우르는 글로벌 플랫폼도 확보한 상태다. ‘자본’과 ‘글로벌’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업계에서는 일부 투자펀드와 벤처캐피탈을 제외하고는 게임 투자가 한계에 부딪힌 국내 게임 시장의 현실을 고려할 때 텐센트의 공격적인 투자 전략이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텐센트의 투자로 증손자법의 굴레에서 벗어난 넷마블은 개발력과 가능성을 가진 다수의 개발사와 빠르게 접촉, 성장 모멘텀 확보를 위한 움직임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텐센트 자본의 유입으로 일종의 투자 ‘도미노’ 효과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모바일 게임사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다는 기대감도 높다.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은 올해 약 5조원, 내년에는 약 10조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무엇보다 구글플레이가 서비스되지 않아 현지 퍼블리셔의 도움없이는 제대로 된 게임 론칭이 쉽지 않다.
이미 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모바일게임을 퍼블리싱하고 있는 넷마블이 텐센트와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서 넷마블과 계약을 맺은 중소개발사의 게임들이 텐센트 플랫폼을 통해 중국 시장의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만들어졌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아울러 텐센트가 최근에는 방송 및 드라마 부문에도 투자를 준비하고 있어 게임과 방송콘텐츠를 연계한 ‘융합콘텐츠 마케팅’에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텐센트가 그동안 유지해왔던 독점적 퍼블리싱 권한은 걸림돌로 지적된다. 로컬 마켓의 영향력이 지대한 글로벌 모바일게임 시장의 성향을 고려할 때 자사 외 다른 기업과의 협력 자체를 불허하는 텐센트의 독점 정책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텐센트 그룹의 마크 런 사업 총괄 사장이 넷마블 투자 관련 기자간담회 현장에서 이런 독점 정책의 수정을 시사하기는 했지만 기업 차원의 명확한 입장이 발표되지는 않았다.
한 전문가는 “자본과 글로벌 퍼블리싱 역량면에서 텐센트와의 협력은 국내 게임 산업의 활성화 및 성장을 이끌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텐센트 등 글로벌 대기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종속현상’이 굳어질 경우 시장 독립성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협력과는 별도로 자체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