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 6월 16일부터 7월 10일까지 진행된 시민위원 공개모집에 총 1570명이 응모해 10.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서울시민 인권헌장은 안전, 복지, 주거, 교육, 환경, 문화, 대중교통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시민이 누려야 할 인권적 가치와 규범을 담게 된다. 향후 시 정책과 사업 등 행정 전반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번에 선발된 150인은 시민위원이다. 30인의 경우 장애인, 여성, 아동, 이주민 등 분야별 인권 전문가 및 활동가로 구성된 전문위원이다.
앞서 캐나다 몬트리올(2002~2005), 호주 빅토리아(2006) 등 해외와 국내에선 광주시가 인권헌장을 제정(2006)한 바 있다. 하지만 시민이 직접 헌장을 제정하는 건 처음이다.
위원장에는 안경환 서울대 법과대학 명예교수이자 전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선정됐다. 부위원장은 문경란 서울시 인권위원회 위원장이 맡는다.
시민위원은 자치구별로 남성 3명, 여성 3명씩 6명을 뽑았다. 연령대별로는 △만 19세 이하 9명 △20대 26명 △30대 29명 △40대 35명 △50대 36명 △60세 이상 16명이다.
이날 위촉된 180인의 시민위원회는 인권헌장 선포 예정시기인 12월까지 인권헌장 권리구성 체계 및 세부권리 결정, 인권헌장 초안 마련, 최종안 심의 의결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김태명 시 인권담당관은 "서울의 주인인 시민들의 주도적 참여로, 세계적인 인권도시 서울의 토대를 만들고자 한 것"이라며 "방향 설정부터 선포까지 전 과정에서 시민위원이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적극 전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