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아르헨티나가 13년만의 디폴트에 이어 노동계 총파업 사태까지 발생하면서 내우외환의 형국에 직면했다.
28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언론에 따르면 노동계는 전날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노동정책에 반대하며 임금상승을 요구하는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번 총파업은 아르헨티나 최대 규모 노동단체인 전국노동자총연맹(CGT)과 공공부문 근로자들이 많이 참여하는 아르헨티나중앙노조(CTA) 등이 주도했다. 지난 4월에도 노동계는 전국적으로 100만명이 참가한 가운데 24시간 동안 총파업을 벌인 바 있다.
이날 총파업으로 일부 은행과 주유소가 영업을 중단했고, 학교 수업도 부분적으로 중단됐다. 열차와 선박 운행도 일부 중단됐고, 일부 국내선과 브라질-아르헨티나 국제선 항공노선도 취소됐다.
노동계는 올해 인플레이션율에 따른 물가상승을 반영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 추산 40%에 달하는 물가 상승으로 감소한 구매력을 임금 인상으로 채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노동계는 악셀 키실로프 경제장관이 추진하는 경제정책이 아르헨티나 경제를 더욱 어렵게 한다며 정책의 방향 전환도 촉구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경제는 이미 경고등이 켜진 상태다. 외환보유액의 고갈에 따라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는 급락하고 물가는 급등하고 있다.
중앙은행의 외화보유액은 174억 달러 감소했고, 이에 미 달러화 대비 페소화 환율은 8.4010 페소를 기록하고 있다. 7월말 디폴트에 직면했을 당시만 해도 달러당 8.20 페소에 거래됐으나 한달도 안돼 빠르게 하락한 셈이다. 이와 함께 최근 12개월간 무역수지 흑자 또한 14억6000만 달러 줄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